윤 대통령, 지지율 첫 30%대 진입에 ‘민생 안정’ 올인…반등 기회 잡을 수 있을까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이 첫 30%대를 기록하면서 새정부 국정동력에 ‘빨간불’이 켜졌다. 6·1 지방선거 승리와 첫 해외순방 등 상승 요인에도 불구하고, 여권 내 갈등, 인사 문제 등이 발목을 잡은 상태다. 이에 윤 대통령은 민생 안정에 역량을 집중함으로써 상황을 타개하려는 모양새다.
10일 정치권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고물가·고유가·고금리 등 이른바 ‘3고’ 경제 위기 속에서 민생 안정에 사활을 걸기 위해 매주 ‘비상경제 민생회의’를 주재하기로 했다. 그동안 경제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비상경제대응체제로 전환한 데 이어, 윤 대통령이 직접 민생 현안을 챙기겠다고 나선 것이다.
윤 대통령이 지난 5일 국무회의에서 “매주 비상경제민생회의를 주재하고 민생현안을 직접 챙기겠다”고 발언 후 사흘 만에 회의가 열릴 만큼, 현재 윤석열 정부는 민생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나아가 다음 회의부터는 직접 민생 현장에 나설 계획일 정도로 총력을 쏟는 분위기다.
특히 윤 대통령은 8일 첫 비상경제 민생회의에서 각 부처 장관들에게 “정부는 민생 안정에 사활을 걸어야 한다”며 “모든 대책을 강구해 달라”고 강조했다. 여기에 공공부분의 고강도 지출 구조조정을 통해 확보된 재원으로 ‘취약계층’ 지원, 생활 물가 안정을 위한 수급관리, 해외수입 확대 및 농·축·수산물 지원 확대를 주문하는 등 민생 안정에 역량을 총동원하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노력들이 급락하는 지지율을 반등시킬 수 있을지 여부다. 한국갤럽이 지난 5일~7일 전국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윤 대통령의 직무수행평가를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p)한 결과, 긍정 평가는 37%, 부정 평가는 49%로 나타났다. 긍정 평가가 전주 대비 6%p 하락한 반면, 부정 평가가 7%p 상승하면서 격차는 12%p 벌어졌다.
부정 평가를 한 응답자를 대상으로 선택한 이유를 물은 결과, ‘인사’가 2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실제로 윤석열 정부의 인사 문제는 야당이 공세에 박차를 가할 정도로 약점으로 꼽힌다.
특히 ‘공정·상식’을 내세우며 출범한 새정부임에도 불구하고, 음주운전 전력이 있는 박순애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임명을 비롯해 여러 신상 논란으로 낙마한 정호영·김승희 보건복지부·김인철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등 부실인사 논란이 부각되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인사에 이어 ‘경제·민생 살피지 않음’이 12%로 가장 높은 응답이 나오면서, 새정부 출범 초부터 강조한 ‘민생 안정’이 국민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고)
이에 윤 대통령은 “각 장관이 민생안전을 최우선 과제로 긴밀히 협의하고 본인들이 피부로 체감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해달라”고 거듭 당부했다. 다만 ‘민생 안정’을 위해선 정부와 국회가 발을 맞춰야 하는 상황인 만큼, 과반수 의석을 확보한 더불어민주당의 협조가 필요하다. 당장 유류세 감면, 직장인 밥값 지원법 등 시급한 민생 법안이 국회에 계류 중이다. 문제는 극적 합의를 본 국회의장단 선출에 이어 상임위원회 구성 역시 공전을 거듭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가운데 민주당 우상호 비상대책위원장은 10일 국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해 윤 대통령과의 영수회담, 여야정 국정상설협의체 등 대화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윤 대통령의 국정 운영 방향 변화를 위해 직접 제안할 생각이 있나’라는 취재진의 질문에 “진짜 위기 대응을 같이하고 싶다”며 “제가 제안할 수도 있지만 대통령과 여당이 그런 대화를 제안하면 반드시 참석하겠다”고 답했다. 결국 지지율 부진 늪에 빠진 윤 대통령이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해 야당에게 협조를 구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김주훈 기자 shadedoll@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