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계, 대우조선 하청노조 점거 농성에 “선복귀 후 대화 통해 해결” 요청
민주노총 전국금속노조 거제통영고성 조선하청지회(대우조선해양 하청노조)의 파업이 50일 가까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경영계가 우려를 표하고 나섰다.
한국경영자총협회은 17일 입장문을 통해 “조합원들의 불법점거와 극단적인 불법행위가 대우조선해양의 경영회복 노력을 무위로 돌리려 하고 있다”며 “우리 조선업과 경제에 막대한 피해를 끼치는 불법행위를 즉각 중단하고, 업무에 선복귀한 후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대우조선해양 하청노조 조합원들은 지난달 2일 임금 30% 인상, 집단교섭 등을 요구하며 파업을 시작했다. 지난달 22일부터는 경남 거제시 조선소 1도크(dock·선박건조대)와 건조 중인 선박을 불법점거하고 있다. 이로 인해 회사는 매일 약 316억원의 매출 및 고정비 손실이 발생하면서 현재까지 6000억여원의 누적 손실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경총은 “그간 우리 조선업은 해운 경기 침체 및 국제경쟁 심화, 원자재 가격 상승, 고임금 저효율 구조로 장기간 어려움을 겪어오다 올해 들어 LNG(액화천연가스) 운반선 등 고부가가치선 위주의 수주로 흑자 전환 전망을 밝혔다”며 “최근 대우조선해양도 카타르 프로젝트 물량이 본격 발주되면서 6개월여만에 연간 수주목표의 99.4%를 달성하는 등 경영회복이 기대되는 상황”이라고 했다. 이어 “그런데 도크가 마비되면 그 공정에만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선후 공정 모두에 생산차질이 발생할 수 밖에 없으며, 그 피해는 원청뿐만 아니라 수많은 협력업체와 근로자들에게 미치게 된다”며 “선주사와 신뢰관계가 중요한 조선업에서 생산차질로 선박 납기가 지연된다면 대외신인도 저하와 더불어 장기적으로 조선업의 국제경쟁력도 커다란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경총은 또 “대우조선해양과 협력사 임직원들은 물론 지역주민들까지 불법점거를 풀고 생산활동을 정상화하고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것을 촉구하고 있지만, 하청지회의 불법점거는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며 “특히 오는 20일 금속노조의 총파업과 노동계의 정치이슈화 시도로 불법점거가 더 길어질 경우에는 원하청 기업 및 근로자는 물론이고 지역경제의 회복할 수 없는 피해까지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정부를 향해 “현존하는 불법 앞에서 노사의 자율적 해결만을 강조할 것이 아니라, 불법행위에 따른 국민경제의 현저한 피해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도록 공권력 집행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박기태 기자 parkea11@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