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기사

코로나19 재유행에도 찾기 힘든 ‘임시선별검사소’…전국 10곳뿐

브릿지경제 viva100 2022. 7. 23. 15:37
728x90

23일 용산구보건소 코로나19 선별진료소를 찾은 시민들이 검사를 기다리고 있다. (연합)

정부가 코로나19 재유행에 대비해 고령자와 신속항원검사 양성자 등이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임시선별검사소를 추가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전국에 설치된 임시선별검사소가 10곳 안팎에 그치면서 방역 대응 체계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3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이날 전국에 설치된 임시선별검사소는 10곳 안팎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정부는 코로나19 재유행 대비 방역 대응 추가 대책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특히 정부는 코로나19 진단·검사 역량을 확대하기 위해 임시선별검사소를 수도권에 55개소, 비수도권에 15개소 등 70개소를 추가 운영하기로 했다. 또한 코로나19 검사 운영 시간과 현재 일부 지자체에서 시행하고 있는 주말 검사 시간도 연장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임시선별검사소는 지난 주말(16~17일) 전국에서 대전 시청광장, 안양 범계평화공원, 춘천 이동형진단검사버스 등 3곳만 설치됐다. 지난 20일 정부의 대책 방안 발표 이후에는 서울에 5개소, 지방에 1개소가 추가돼 운영되고 있다.

서울은 관악구 낙성대공원, 서초구 고속터미널역, 도봉구 도봉구청, 노원구 노원구민의전당, 강동구 암사역사공원 등이고, 지방에는 기존 3곳을 포함해 보령시 보령머드임시선별검사소가 있다.

정부는 장소 확보와 설치, 인력 배치 등에서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향후 목표치를 달성하겠다는 입장이다. 다만 설치된 임시선별검사소 중 몇몇은 주말에 문을 열지 않거나 일부만 운영되면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현재 임시선별검사소 무료 검사 대상은 △만 60세 이상 고령자 △역학적 연관성이 있는 자 △감염취약시설 선제검사 △신속항원·응급선별검사 양성자 등이다.

김주훈 기자 shadedoll@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