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기사

서울 마지막 금싸라기 땅 용산정비창 부지...‘아시아 실리콘밸리’로 개발

브릿지경제 viva100 2022. 7. 26. 10:50
728x90

서울 용산철도정비창 개발 조감도. (서울시)

서울 용산역 인근 용산 철도정비창(용산정비창) 일대 50만㎡ 개발 청사진이 공개됐다. 서울시는 약 50만㎡에 달하는 용산정비창 부지에 법적 상한 용적률인 1500%를 넘는 초고층 건축물을 세우고, 일자리와 주거 및 여가·문화공간이 집약된 ‘아시아의 실리콘밸리’로 만들 방침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26일 오전 브리핑에서 “용산 정비창에 미래도시 키워드를 담아 글로벌 도시 경쟁력과 기술 혁신을 선도하는 미래 신(新) 중심지로서의 국제업무지구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날 공개된 서울시 구상에 따르면, 용산정비창을 초고층 마천루와 드넓은 녹지가 펼쳐진 공간으로 만들어 글로벌 하이테크 기업이 입주하고 싶어하는 공간으로 만들겠다는 것이 골자다.

이를 위해 시는 최초로 ‘입지규제최소구역’을 지정할 계획이다. 입지규제최소구역으로 지정되면 용도지역 규제에 적용받지 않고 건축물의 용적률·건폐율 등을 정할 수 있다. 지자체장이 국토부 장관에 지정을 신청하면 국토부장관이 심의를 거쳐 지정 여부를 결정한다.

시는 이 제도를 활용해 용산정비창에 1500%를 넘는 초고층 건물을 지을 방침이다. 용산국제업무지구와 유사한 뉴욕 허드슨야드의 경우 용적률을 최대 3300%까지 허용하고 있으며, 평균 용적률은 1800% 이상이라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시는 뉴욕 허드슨야드의 사례를 감안해 용적률을 정할 계획이다.

사업성과 공공성을 확보할 방안도 내놨다. 시는 전체 부지의 70% 이상을 업무·상업 등 비주거 용도로 채우며, 고밀개발에 따른 부영향을 해소하고 공공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체 부지 대비 기반시설율(도로·공원·학교 등)은 40% 수준으로 정했다.

용산을 서울의 녹지 및 교통의 거점으로 만들겠다는 청사진도 제시했다. 대규모 중앙공원과 철도부지 선형공원 등 녹지생태공간을 곳곳에 조성해 지상부의 50% 이상을 녹지로 확보하고, 차량은 지하로 달릴 수 있도록 지하교통체계를 구축한다. 녹지와 보행공간은 용산역과 용산공원, 한강까지 이어지도록 만들 예정이다.

이와 함께 용산역과 인접한 부지에는 지하도로는 물론 미래교통수단인 미래항공교통(UAM) 등과 GTX, 지하철 등 다양한 교통수단을 연계하는 복합환승센터 개념의 1호 ‘모빌리티 허브’가 들어선다. 이를 통해 용산은 서울도심과 강남으로, 인천공항과 수도권 전역으로 연결되는 신(新) 교통거점이 된다.

아울러 시는 사업 위험을 줄이기 위해 공공기관인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와 코레일이 ‘공동사업시행자’(코레일 70%, SH공사 30%)로 사업을 추진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과거에는 민간 프로젝트금융사(PFV) 주도 개발 방식을 취했지만, 외부 경제 상황 변화 등의 위험으로 민간이 흔들리면서 좌초된 바 있다.

공공이 약 5조원의 재원을 투자해 부지 조성과 인프라 구축을 선(先) 시행하고, 민간에서 개별 부지별로 하나씩 완성해가는 방식이다. 공공기관인 SH공사와 코레일이 ‘공동사업시행자’(지분율 코레일 70%, SH공사 30%)로서 사업을 추진하는 ‘단계적·순차적’ 개발로 진행한다.

서울시는 내년 상반기까지 도시개발구역 지정과 개발계획을 수립하고, 2024년 하반기 기반시설을 착공한‘후 2025년 앵커부지 착공을 목표로 사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계획이다.

오 시장은 “지난 임기 때 추진했던 용산국제업무지구 도시개발사업이 2013년 최종 무산 후 추진 동력을 잃어버린 상태”라며 “용산이 가진 무한한 잠재력과 기회를 극대화하고 변화된 여건과 미래 환경에 부합하는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문경란 기자 mgr@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