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가로 들어가니 실제 더 비싸”...가격비교사이트, 정보 정확성 떨어져
온라인쇼핑 규모의 증가와 함께 온라인상에서 가격정보를 제공하는 가격비교사이트 이용도 늘고 있지만, 정확성이 낮고 판매자의 신원정보가 일부만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한국소비자원이 7개 가격비교사이트(네이버 쇼핑·카카오 쇼핑하우·네이트 쇼핑·다나와·에누리·쿠차·행복쇼핑)와 연동된 판매사이트의 상품 및 가격정보를 조사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특히 가격비교사이트 상의 가격과 판매사이트에서의 실제 가격이 일치하지 않는 ‘가격 불일치율’이 조사대상 상품의 22.0%에 달했다. 또한 가격비교사이트와 판매사이트의 상품 자체가 아예 다른 경우가 2.2%, 품절 등으로 판매사이트에서 구매가 불가한 경우도 5.4%로 나타났다.
가격 불일치 상품 256개 중 78.5%(201개)가 가격비교사이트에서 제공한 가격 보다 연동된 판매사이트의 실구매가가 더 비쌌다. 가격이 상승한 원인으로는 TV, 냉장고 등의 품목에서 가격비교사이트에는 무료배송 등으로 표기했으나 실제 판매사이트에서는 배송비나 설치비가 추가로 청구된 사례가 49.3%(99개)로 가장 많았고, 상품 가격 자체가 더 비싼 경우가 44.7%(90개)로 뒤를 이었다.
또한 상품 정렬 및 ‘베스트’, ‘인기’ 등의 용어에 대한 객관적인 기준(근거)을 표시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나, 7개 가격비교사이트 중 4개 사이트(네이트 쇼핑, 다나와, 쿠차, 행복쇼핑)는 ‘인기상품순’ 등에 대한 근거를 표시하지 않았다.
이외에도 실제 판매자나 오픈마켓 사업자의 신원정보 등을 소비자에게 제공해야 하지만 네이트 쇼핑, 쿠차는 제공하지 않았고, 행복쇼핑은 일부 판매자에 대해서만 정보를 제공하고 있었다.
해외직구 상품의 가격비교 및 상품정보를 제공하는 5개 사이트(네이버 쇼핑, 카카오 쇼핑하우, 다나와, 에누리, 쿠차)의 정보 제공 실태를 조사한 결과, 일부 사이트에서는 상품정보가 소비자에게 충분하게 제공되지 않아 구매 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판매제품으로 오인할 우려가 없도록 해외 쇼핑몰(알리익스프레스, 큐텐 등) 판매 상품에 ‘해외’를 표기한 사이트는 2곳이었고, 관·부가세 등 통관정보를 제공하거나 판매사이트 전환 시 해외직구 상품임을 고지하는 사이트도 각각 1곳에 불과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가격비교사이트 사업자에게 △가격비교 정보의 정확성 향상을 위한 개선 조치 마련 △가격정보 노출 기준 표시 강화 △실제 판매자 및 오픈마켓 사업자 신원정보 제공 △해외직구 상품에 대한 표시 및 중요 정보 제공 강화 등을 권고할 계획이다.
아울러 소비자에게는 가격비교사이트를 이용하여 물품 구매 시 판매자의 신원정보를 잘 확인할 것, 가격비교사이트의 가격 및 거래조건이 실제 판매사이트와 일치하는지 꼼꼼히 비교한 후 구매할 것을 당부했다.
박자연 기자 naturepark127@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