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 ‘오메가-3’ 건기식, 제품별 지방산·비타민E 함량 ‘제각각’…중복섭취 우려
시중에 판매하는 오메가-3 건강기능식품 중에 지방산과 비타민E 함량, 캡슐 크기 등에 차이가 있어 제품별 특징을 확인 후 구입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한국소비자원이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오메가-3 20개 제품을 조사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조사대상 20개 제품의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은 모두 건강기능식품 1일 최소 섭취량 기준(500㎎) 이상이었다. 1일 섭취량 당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은 제품 간 최대 4배(2074~537㎎) 차이가 났으며 ‘초임계 알티지 오메가3 맥스 2000(제이더블유생활건강㈜)’은 오메가-3 지방산 1일 섭취량을 2074㎎으로 가장 많이 설정하고 있었다.
또한 원료에 따라 오메가-3 지방산을 구성하는 EPA와 DHA의 비율에 차이가 있어 어류 유지를 사용한 제품(18개)은 오메가-3 지방산 중 DHA의 비율이 36~49%인 반면 조류 유지를 사용한 제품(2개)은 61~99%로 DHA의 비율이 더 높았다.
조사대상 20개 제품 중 비타민E 기능성을 표시한 13개 제품은 비타민E를 건강기능식품의 1일 최소 섭취량 (3.3㎎α-TE) 이상을 함유하고 있었다. 현재 종합비타민 등으로 비타민E를 섭취 중이라면 해당 성분을 필요 이상 중복해 섭취하지 않도록 확인하고 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설명이다.
캡슐 크기(용량)는 목 넘김 등 섭취 편의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이며, 가장 작은 것은 368㎎, 가장 큰 것은 1299㎎으로 최대 3.5배 차이가 났다.
조사대상 제품 중 ‘뉴트리라이트 오메가-3 밸런스(한국암웨이㈜)’ 368㎎, ‘퓨어 알티지 오메가3 이지(고려은단헬스케어)’ 401㎎, ‘프로메가 알티지 오메가3 듀얼(종근당건강㈜)’ 520㎎, ‘애터미 알래스카 이-오메가3(애터미㈜)’ 550mg 등 4개 제품은 상대적으로 캡슐 크기가 작았다.
반면 ‘커클랜드 슈퍼 오메가3(㈜코스트코코리아)’ 1299㎎, ‘초임계 알티지 오메가3 맥스 2000(제이더블유생활건강㈜)’ 1270㎎, ‘한미 오메가3 맥스 MAX(한미약품㈜)’ 1135㎎ 등 3개 제품은 상대적으로 캡슐 크기가 컸다.
하루 섭취 캡슐 수를 조사한 결과, 제품별로 하루에 섭취하는 캡슐 수는 1~4개였고, 캡슐 크기가 작은 제품은 하루에 섭취하는 캡슐 수가 캡슐 크기가 큰 제품보다 많은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일부 제품은 온라인몰과 이력추적관리시스템에 게재한 표시가 미흡해 해당 업체에 개선을 권고했다. 이에 판매 업체는 한국소비자원의 권고를 수용하여 개선을 완료했거나 개선할 계획임을 밝혔다는 설명이다.
한편, 국내 제조 식품의 경우 ‘원산지표시법’에 따라 표시대상품목인 원재료에 대한 원산지 국가명을 이력추적관리시스템에서 제공하고 있으나, 수입식품은 표시 의무가 없어서 조사대상 중 수입제품 ‘뉴트리라이트 오메가-3 밸런스(한국암웨이㈜)’, ‘커클랜드 슈퍼 오메가-3(㈜코스트코리아)’ 2개는 이력추적관리시스템에 원산지 정보가 없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의 알권리와 국내 제조 식품과 수입식품의 형평성을 위해 수입식품에도 원재료의 원산지 국가명을 표시하는 내용의 기준 개정을 건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자연 기자 naturepark127@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