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세지는 ‘비속어 논란’ 후폭풍…진실 공방에 사활건 여야
윤석열 대통령의 뉴욕 방문 중 불거진 ‘비속어 논란’이 수습이 아닌 확산되면서 정국의 모든 이슈를 빨아들이는 블랙홀로 부상하고 있다. 여야가 연일 ‘진실 공방’을 거듭하면서, 국회 상임위원회 파행부터 MBC 항의방문, 박진 외교부 장관 해임 요구 등 전선은 확대되고 있는 형국이다.
여야는 28일에도 윤 대통령의 ‘비속어 논란’에 대한 진실 공방 주도권을 잡기 위해 총력을 쏟았다.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이 각자 ‘왜곡 조작’과 ‘외교 참사’를 주장하며 여론전에 화력을 집중했다.
먼저 국민의힘은 이날 윤 대통령의 ‘비속어 논란’ 영상을 처음 공개한 MBC를 항의 방문했다. 민주당 박홍근 원내대표가 논란의 영상을 입수해 당 정책조정회의에서 비판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전달한 것이 MBC라는 것이다.
또한 당은 이번 비속어 논란을 ‘자막조작 사건’이라고 규정했다. 음성 분석 전문가가 ‘비속어 논란’ 영상을 분석해도 정확한 발음을 특정할 수 없는데, MBC가 자의적으로 해석했고 이를 사실관계 절차 없이 보도했다고 주장하면서다. 즉, 당은 이번 논란이 ‘정언유착’의 결과물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것이다.
당은 이번 논란을 ‘제2의 광우병’사태라고 규정할 정도로 민감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 임기 초반 광우병 사태로 인해 지지율 하락은 물론 국정운영이 마비될 정도로 혼란을 겪은 만큼, 철저하게 대응하겠다는 것이다. 여기에 맞춰 당은 전날 ‘MBC 편파조작방송 진상규명 태스크포스(TF)’를 발족해 선제적으로 움직였다.
당장 28일 TF는 서울 마포구 상암동 MBC 사옥을 항의 방문했고, 이 자리에는 TF 위원장인 박대출 의원을 비롯해 권성동 의원,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여당 간사인 박성중 의원 등이 총출동했다.
특히 권 의원은 MBC의 보도를 ‘대국민 보이스피싱·외교적 자해공갈’ 등으로 표현하며 “단순 해프닝을 외교 참사로 주장해 정권을 흔들려는 속셈”이라고 작심비판했다. 더욱이 공영방송으로서 신뢰를 잃었다고 주장하며 ‘민영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여기에 맞선 민주당의 공세도 만만치 않았다. 여당은 MBC를 겨냥했지만, 야당은 윤 대통령의 비속어 발언을 진실이라고 주장하는 만큼 ‘외교 참사’라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즉, 윤석열 정부의 외교 라인 전면 교체와 박진 외교부 장관의 해임이 당연히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전날 민주당은 박 장관에 대한 해임건의안을 당론으로 발의했고, ‘29일 본회의 처리’를 관철시하기 위해 여론전을 펼쳤다. 김진표 국회의장이 해임건의안의 본회의 상정 조건으로 여야 의사 일정 협의를 내걸자, 공세를 앞세운 압박전을 펼친 것이다.
무엇보다 그동안 ‘비속어 논란’에 말을 아꼈던 민주당 이재명 대표도 이 같은 당의 기조에 맞게 강공을 펼치는 만큼, 민주당이 이번 논란에 당력을 총동원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특히 이 대표는 이날 여야 의원들이 모두 모인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대통령의 영미 순방은 이 정부의 외교 수준을 적나라하게 보여줬다”며 “그 책임을 국민과 언론, 야당에 뒤집어씌우려는 시도는 결코 성공하지 못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 같은 여야의 전면전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이 대표는 “제1당으로서 이번 외교 참사의 책임을 분명히 묻겠다”고 말했고, 이에 주호영 원내대표는 “외교 참사 규정부터 잘못됐다”며 “박 장관에 대한 불신임건의안이야말로 대한민국 국익 해치는 자해행위”라는 등 맞서고 있다.
김주훈 기자 shadedoll@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