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파운드리 다시 품은 SK하이닉스, 세계 10위 파운드리 도약 발판 확보
SK하이닉스가 세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10위 기업으로 도약한다는 목표에 한 걸음 더 다가서게 됐다.
공정거래위원회는 30일 SK하이닉스가 국내 파운드리 기업인 키파운드리를 인수하는 건을 심사한 결과, 시장 경쟁 제한 우려가 없어 이를 승인했다고 밝혔다. 지난 2004년 하이닉스가 구조조정으로 비메모리 부문을 분리 매각한 이후, 18년 만의 재결합이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12월 매그너스반도체로부터 키파운드리의 주식 100%를 약 5758억원에 취득하는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키파운드리는 다품종 소량 생산에 적합한 8인치 웨이퍼(200㎜)를 기반으로 하는 반도체 생산시설을 운영 중이다. DDI, 혼합신호(Mixed Signal), 비휘발성 메모리(eNVM) 등이 주력 서비스다
공정위는 두 회사의 중첩되는 사업 영역인 ‘전 세계 성숙제품 파운드리 시장’에 대해 검토한 결과, 두 회사의 합계 점유율이 5% 대에 불과하고, 전세계 파운드리 기준으로는 1%대 수준으로 경쟁제한 우려가 적다고 판단했다. 또 공정위는 키파운드리가 12인치(300㎜) 웨이퍼 팹 등을 갖고 있지 않아, 이번 결합으로 SK하이닉스가 경쟁자를 배제할 가능성도 낮다고 봤다.
현재 SK하이닉스는 자회사인 SK하이닉스시스템아이씨(IC)를 보유 중이다. 8인치 파운드리 기업으로, 웨이퍼 생산량은 키파운드리와 유사한 수준이다. 키파운드리에 대한 기업결합이 최종 완료되면, SK하이닉스의 파운드리 생산능력은 현재의 2배 이상인 월 20만장을 기록할 것으로 업계는 전망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시스템 반도체 부문의 경쟁력을 확대하기 위한 일환으로 키파운드리에 대한 인수를 진행해 왔다. 박정호 SK하이닉스 부회장은 지난해 5월 ‘K-반도체 전략 보고대회’에서 “8인치 파운드리 생산능력을 2배로 늘리겠다”며 “국내 설비 증설, 인수합병(M&A)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언급한 바 있다.
한편, SK하이닉스는 이날 열린 정기 주주총회에서 M&A 등을 통한 반도체 경쟁력 제고에 나서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박정호 부회장은 이날 “솔리다임과 SK하이닉스의 SSD 사업을 점진적으로 통합해 시너지를 극대화하겠다”면서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가 세계 반도체 시장을 선도하는 글로벌 일류 기술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우주성 기자 wjsburn@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