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기사

중기업계 "원자재 가격 뛰는데 납품 단가는 그대로… 납품단가 연동제 도입을"

브릿지경제 viva100 2022. 4. 11. 13:48
728x90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가운데)를 비롯한 18개 중소기업계 단체 대표들이 11일 서울 여의도 중기중앙회에서 열린 ‘납품단가 제값받기를 위한 기자회견’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사진=중소기업중앙회)

중소기업계가 2년 전과 비교해 원자재 가격이 50% 이상 올랐음에도 가격 상승분을 납품대금에 전부 반영한 중소기업은 4.6%에 불과하다며, 납품단가 연동제 도입을 요구하고 나섰다.

11일 중소기업중앙회와 중소기업협동조합을 포함한 18개 중소기업 단체는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중소기업 납품단가 제값받기를 위한 기자회견’ 열고, 지난달 28~31일 중소기업 304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긴급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응한 기업은

뿌리분야 업종 106개사, 건설분야 업종 198개사다.


김기문 중기중앙회장은 “원자재 가격 인상은 이미 작년부터 경고등이 켜졌다. 게다가 엎친데 덮친격으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시작되면서, 글로벌 공급망이 마비돼 원유, 철강 등 주요 원자재 가격이 폭등하고, 덩달아 물류비까지 급등하고 있다”며 “문제는 폭등한 원자재 가격이 납품단가에 반영되지 않는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조사결과 원자재 가격 상승분을 전부 납품대금에 반영하고 있는 중소기업은 4.6%에 불과했다. 46.2%가 일부 반영하고 있다고 답했고, 49.2%는 아예 반영하지 못했다고 했다. 일부를 납품대금에 반영한 경우도 반영비율은 전체 상승분의 29.9%에 불과했다.

상승분을 반영하지 못한 가장 큰 이유는 ‘관행적인 단가 동결·인하(73.5%) 문화’ 때문이었다. ‘경기불황에 따른 원사업자의 부담 전가’(14.3%), ‘위탁기업이 낮은 가격으로 제품을 구성’(8.8%), ‘위탁기업 구매담당자의 실적 관리 차원’(2%) 등도 뒤를 이었다.

대기업에 납품하는 중소기업의 매출 의존도가 80%가 넘다 보니 납품단가 인상 요구가 어렵다는 게 중소기업계의 설명이다.

이에 중소기업들은 향후 원자재값 상승분이 납품대금에 반영되지 않을 경우 △생산량 감축(41.9%) △일자리 축소(32.9%) △공장 폐쇄(9.6%) 등에 들어갈 수밖에 없다고 답했다.

중소기업계는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납품단가 연동제 도입을 꼽았다. 납품단가 연동제는 하도급 계약기간 중 원부자재 가격이 변동될 경우 이를 반영해 원사업자가 수급사업자에 납품단가를 인상해주는 제도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도 대선 과정에서 중기중앙회를 찾아 납품단가 연동제 도입을 약속했다.

김기문 회장은 “이번에 폭등한 원자재 가격까지 중소기업들이 떠안게 된다면, 존립의 문제로 이어질 것”이라며 “납품단가 문제는 가장 고질적이고 근본적인 문제임에도 아직까지 해결되지 않고 있어, 새정부에서 반드시 납품단가 연동제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연경 기자 dusrud1199@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