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기사

한덕수 "尹-安 공동정부 어렵다…능력·전문성 기준돼야"

브릿지경제 viva100 2022. 4. 23. 20:06
728x90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 (연합뉴스)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는 23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과 안철수 대통령직인수위원장의 ‘공동정부’ 구상과 관련해 “내각 인선, 전문성과 능력을 최우선으로 하면서 국정 공동운영이라는 원칙을 고수하기 어려운 현실이 있다”고 밝혔다.

한 후보자는 국회 인사청문특위에 제출한 서면답변에서 ‘윤 당선인의 1기 내각 인선이 ’공동정부‘ 약속에 따라 이뤄지지 않았다는 질문에 이같이 말하고 “이견은 당선인과 대화로 해소된 것으로 안다”고 대답했다.

한 후보자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인선에 여성이 적다는 지적에 대해 “이번 국무위원 후보자는 특정 세대나 지역, 성별을 고려하기보다는 각 부처가 해결해야 할 시대적 사명과 과제들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과 전문성을 기준으로 지명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능력과 전문성을 갖춘 여성이 발굴되면 국무위원을 비롯한 정부 요직에 기용돼 성과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성별할당제에 대해선 “특정 성별의 참여가 현저히 부진한 분야에 해당 성별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할당제, 양성평등 채용 목표제 등을 실시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면서도 “국가 중요 정책을 결정하는 국무위원은 기본적으로 능력과 전문성을 우선 고려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여성 권익과 기회의 평등을 보장하는 법·제도 정비, 사회적 인식 개선 등으로 제도적으로 여성을 배제하거나 기회의 불공정을 조장하는 등의 구조적 차별은 많이 개선되었다고 본다”며 “특성에 따른 격차 해소는 ‘여성’, ‘남성’이라는 성별 구분을 넘어 개개인이 직면하는 차별을 해소하는 데 보다 관심을 두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군 가산점제 부활에 대한 질문에는 “여성의 사회 진출 확대로 남녀 간 공평한 진출 기회 보장이 중요해짐에 따라 군가산점제가 위헌 판결을 받았다는 취지로 알고 있다”고 말하며 “군 복무자에 대한 적정한 보상과 자긍심 고양은 필요하지만, 여성·장애인 등 비 복무자와의 형평성 등을 고려하면, 군가산점제 부활은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김아영 기자 aykim@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