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기사

'감속' 오세훈 vs '가속' 송영길… 여야 서울시장 후보, 주택 공급대책 궤도 180도 수정

브릿지경제 viva100 2022. 5. 15. 16:01
728x90

오세훈 서울시장과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서울시장 후보. (연합뉴스)

지난해 서울시장 재보궐선거와 3월 대통령선거에서 부동산 민심이 결정적이었다는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이번 6·1서울시장 선거 역시 ‘부동산 문제’가 최대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당 대표를 지낸 송영길 민주당 후보와 사상 최초로 ‘4선 서울시장’에 도전하는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현 서울시장)가 양강 구도를 형성한 가운데, 두 후보가 내놓은 주택정책 공약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번 두 호보의 부동산 공약에서 특이한 점은 그동안 두 당의 공약 흐름이 서로 바뀌어 있다. 과거 과감한 속도를 강조했던 국민의힘은 속도조절을, 신중한 규제를 강조했던 민주당은 속도전을 내걸었다.

국민의힘 오세훈 후보가 내놓은 5대주택공약의 핵심은 민간중심과 속도조절이다.


5대 공약 중 효도주택 공급만 이날 처음 발표된 것이며, 민간이 주도로 공공이 지원하는 ‘신속통합기획’과 ‘모아주택·모아타운’으로 주택 공급 물량을 확대하고 취약 계층을 위한 임대주택 고급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한다는 구상이다.

다만 오 후보는 ‘신속하지만 신중한’ 공급을 언급하며 속도 조절에 나서는 모습이다. 출마 선언에서 오 후보는 “신정부 출범 후 재건축·재개발 기대감으로 일부 지역 주택 가격이 오르고 이게 단초가 돼 부동산 가격이 불안정하게 될 것을 우려해 지금은 약간 속도 조절에 들어간 상황”이라고 밝혔다.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서울시장 후보는 ‘41만호 주택공급 프로젝트’를 골자로 한 부동산 정책공약을 밝혔다. 송 후보 역시 공급확대를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선 오 후보와 기조가 비슷하다. 다만 공급 주체를 민간이 아닌 공공으로 하고 빠른 속도를 강조하는 등 세부적인 면에선 차이를 보인다.

송 후보는 공공 주도 신속 개발로 총 41만호 주택을 공급하고 이 중 10만호를 공공주택으로 할 계획이다. 현재 9%에 불과한 임대주택 비중을 2030년까지 20% 수준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그린벨트 해제도 내세웠다.

이밖에도 1가구 1주택에 대한 종합부동산세를 사실상 폐지하고, 무주택 실수요자는 주택담보비율(LTV)을 80%까지 일괄 높이고 생애 최초 주택은 그 기준을 90%까지 상향하는 방침도 내놓았다. 아울러 송 후보는 ‘부동산 코인’ 이라는 새로운 개념까지 제시하며, 실물자산 기반의 코인을 발행해 시민에게 부동산 간접 투자 기회를 줄 것을 약속하기도 했다.

문경란 기자 mgr@viv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