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릿지경제

"비싼 이자 내느니..." 월세, 전세 첫 추월…4월 거래 절반 이상 본문

오늘의 기사

"비싼 이자 내느니..." 월세, 전세 첫 추월…4월 거래 절반 이상

브릿지경제 viva100 2022. 5. 31. 15:20
728x90

지난달 신고된 전월세 거래 중 월세 비중이 처음으로 전세를 넘어섰다. 전세가격 급등과 대출 이자 부담으로 월세로 갈아탄 세입자가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3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4월 전국의 전월세 거래는 총 25만8318건으로, 월세가 13만295건으로 50.4% 과반을 차지했다. 월세 거래량이 50%를 넘고 전세 거래량을 추월한 것은 정부가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1년 이후 처음이다. 전세 거래량은 12만8023건으로 49.6%로 집계됐다.

1∼4월 누적 거래 기준으로 보면 올해 월세의 비중은 48.7%로 작년 같은 기간(42.2%)보다 6.5%포인트(p), 5년 평균(41.6%)과 비교해서는 7.1%p 각각 높아졌다.

국토부는 월세 비중이 늘어난 것에 대해 2020년 7월 도입된 ‘임대차 3법’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했다.

작년 6월 전월세 신고제가 시행된 이후 그동안 신고가 잘 이뤄지지 않던 오피스텔과 원룸 등 준주택의 월세 계약 신고가 늘어나 월세 비중도 함께 확대된 것이란 설명이다.

전문가들은 임대차 3법 시행 이후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해 기존 주택에 계속 거주하는 세입자가 늘어 전세 매물이 잠기고, 집주인들이 4년 치 보증금 인상분을 한 번에 올려 받으려고 하면서 전셋값이 크게 오른 것도 전세의 월세화 현상을 부추긴 한 원인으로 분석하고 있다.

최근 잇단 금리 인상으로 세입자 입장에서도 전세대출을 받아 비싼 이자를 내느니 차라리 집주인에게 월세를 내는 편이 낫다고 여기는 분위기도 월세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국토부는 해석했다.

한편 새 정부의 재건축 등 부동산 규제 완화 기대감에 주택 거래량도 서서히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월 전국의 주택 매매량은 5만8407건으로 전월 대비 9.3% 증가했다. 다만 작년 동월대비 37.2% 감소한 것으로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이 6120건으로 전월 대비 20.0%, 경기는 1만3261건으로 15.7%, 인천은 3965건으로 11.8% 각각 증가했다. 지방은 3만561건으로 전월 대비 5.1% 늘었고, 작년 동월 대비로는 27.0% 감소했다.


채현주 기자 1835@viva100.com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