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릿지경제
獨 ‘배출가스 조작’ 수사…EU시장 성장세 현대차 견제 의심 본문
현대자동차그룹이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있는 상황에서 때늦은 디젤게이트에 휘말렸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28일(현지시간) 독일 검찰이 디젤차에 불법 조작 장치를 달아 배출가스를 기준 이상으로 배출했다는 혐의로 현대차그룹의 현지법인 8곳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독일 검찰이 지난 디젤게이트 이후 자사의 글로벌 부품업체인 보쉬와 델파이의 배기가스 저감 장치를 수사하다가 현대차그룹에 불똥이 튄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그룹은 이들 업체에서 공급받은 장치를 2020년까지 디젤 차량 21만여 대에 부착해 유통한 혐의를 받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2015년 폭스바겐의 배출가스 조작 사건 당시에도 독일 검찰의 조사를 받았으나 이렇다 할 행정조치는 없었다.
이에 현대차그룹은 “독일 현지 법인이 압수수색을 받은 것은 사실”이라면서 “독일 당국의 수사에 적극적으로 협조할 것”이라고 밝혔다.
과거 보쉬와 델파이의 배기가스 저감 장치는 차량이 주행중 제 역할을 하지 못해 대기중에 오염물질을 배출했다. 보쉬와 델파이는 이 장치를 연구용으로 완성차업체들에게 공급했지만 몇몇 완성차업체들이 이를 그대로 완성차에 적용하면서 문제가 발생했다.
문제가 됐던 배기가스 저감 장치는 차량이 정차해 있을 때는 배기가스 저감 역할을 하지만 주행을 할 경우 가동이 줄어들거나 꺼지면서 연비와 출력이 상승 할 수 있도록 했다. 결국 이 장치를 그대로 사용했던 폭스바겐과 몇몇 완성차업체는 각국의 처벌과 행정조치를 받았다.
현대차그룹도 과거 디젤게이트가 확산되자 독일 정부는 물론 각국으로부터 불법 배기가스 저감 장치 적용에 대한 조사를 받은 바 있다. 당시 현대차그룹의 차량에서 배출가스 조작이 확인된 적은 없었다.
이에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과거 현대차 그룹은 유럽 완성차업체의 디젤차량 보다 낮은 연비와 출력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상황에서도 불법 조작 장치를 사용하지 않았다”라면서 “디젤게이트 이후 천문학적인 과징금을 맞고 있는 상황을 지켜본 현대차그룹이 불법 배기가스 조작 장치를 사용할 가능성은 만무하다”라고 전했다.
이를 두고 유럽시장에서 전기차 아이오닉 5, EV6와 제네시스 브랜드 진출 등으로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는 현대차그룹에 대한 견제용 수사가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는 “독일 정부는 디젤게이트 이후 매년 글로벌 완성차업체를 조사중인데 막바지에 현대차그룹이 압수수색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라면서 “폭스바겐이 친환경 승용디젤로 성장할 시점에 미국에서 디젤게이트가 터졌던 것처럼 현대차그룹이 충성고객이 많은 유럽시장에서 급격한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어, 이를 견제할 의도로 독일 검찰이 압수수색을 한 게 아니냐는 의심도 든다”라고 전했다.
김태준 기자 tjkim@viva100.com
'오늘의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월 월세 비중 59.5% 역대 최고…서울 미분양 한 달새 2배 늘어 (0) | 2022.06.30 |
---|---|
서울 중구 다동 일대 50년 만에 재개발 본격화… 업무·주거·상업 복합공간 들어선다 (0) | 2022.06.30 |
삼성, 세계 최초 3나노 반도체 양산 성공… 'GAA 기술 적용' (0) | 2022.06.30 |
방탄소년단, 악성 게시물 법적 대응 "어떠한 합의나 선처 없다" (0) | 2022.06.30 |
톰 히들스턴은 이 역할 말고, '토르'를 꿈꿨다! (0) | 2022.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