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릿지경제

2월 은행 주담대 금리 3.88%…약 9년 만에 최고 수준 본문

오늘의 기사

2월 은행 주담대 금리 3.88%…약 9년 만에 최고 수준

브릿지경제 viva100 2022. 3. 31. 14:12
728x90

지난 30일 서울 시내 은행 모습. (사진=연합뉴스)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주담대) 평균 금리가 지난달 4%에 육박했다. 거의 9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일반 신용대출 금리도 5%대 중반으로 7년 6개월 만에 최고 기록을 세웠다.

3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통계에 따르면 2월 예금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중평균·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3.88%로 한달전(3.85%) 보다 0.03%포인트(p) 올랐다. 2013년 3월(3.97%) 이후 8년 11개월 만에 최고 수준이다.

일반신용대출 금리는 5.33%로 한달전(5.28%)과 비교해 0.05%p 올랐다. 2014년 8월(5.38%) 이후 7년 6개월 만에 최고점이다. 

 

이에 따라 전체 가계대출 금리는 한달전 3.91%에서 2월 3.93%로 0.02%p 뛰었다. 2014년 7월(3.93%) 이후 최고 기록이다.

송재창 한은 경제통계국 금융통계팀장은 “코픽스와 은행채 등 장단기 지표금리 상승으로 가계대출 금리가 전반적으로 올랐다”며 “그러나 은행의 가산금리 인상에 따른 영향은 거의 없었고, 오히려 일부 은행이 우대금리 등을 복원하면서 지표금리 상승폭보다 실제 금리 상승폭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최근 은행 등 금융기관의 대출태도 완화가 어느 정도 진행될지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기업대출 금리는 지표금리 상승, 장기물 비중 확대, 고금리 대출 취급 등으로 대기업(0.24%p), 중소기업(0.07%p) 모두 올라 전체 기업대출 금리는 전월대비 0.14%p 뛰었다. 2019년 7월(3.52%) 이후 2년 7개월 만에 최고점이다.

기업대출과 가계대출 금리를 모두 반영한 전체 대출금리(가중평균·신규취급액 기준) 평균은 3.56%로 전월(3.45%) 보다 0.11%p 올랐다.

예금은행의 저축성 수신(예금) 금리 평균도 연 1.65%에서 1.70%로 0.05%p 올랐다.

송 팀장은 “시장금리 상승, 청년희망적금 출시 등으로 정기예금(0.04%p), 정기적금(2.12%p)을 중심으로 0.07%p 올랐으나, 시장형금융상품이 CD(0.04%p), 금융채(0.08%p)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RP(-0.31%p)의 큰 폭 하락으로 0.01%p 내리면서 전체 저축성수신금리가 전월대비 0.05%p 올랐다”고 설명했다.

신규 취급액 기준 대출금리와 저축성 수신금리의 차이인 예대마진은 전월(1.80%) 보다 0.06%p 확대된 1.86%p를 기록했다.

신규 취급 기준이 아닌 잔액 기준으로는 총수신 금리(0.93%)가 0.05%p, 총대출금리(3.20%)가 0.08% 각각 상승했다.

이에 따라 총대출금리와 총수신금리의 차이인 예대마진은 2.27%p로 전월(2.24%p)보다 0.03%포인트 확대됐다. 2019년 6월(2.28%p) 이후 2년 8개월 만의 최대 폭이다.

비은행금융기관의 예금금리는 모두 상승했고, 대출금리는 상호저축은행을 제외하고 모두 올랐다.

한은은 “상호저축은행 대출금리는 가계(-0.36%p)가 고객유치를 위한 금리인하 및 담보대출 취급 비중 확대 등으로, 기업(-0.14%p)은 저금리 부동산담보 및 PF대출 취급 등으로 각각 내리면서 0.12%p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김수환 기자 ksh@viva100.com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