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릿지경제
서울 아파트값, 민간은 5주 연속 상승...공공은 9주 만에 하락 본문
서초, 강남 등 주요 지역이 집값 상승을 견인하면서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이 5주 연속 상승했다.
3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0.02% 상승했다. 재건축이 0.01% 하락했지만, 일반 아파트가 0.03% 올랐다. 신도시는 1기 신도시의 재건축 기대감이 이어지면서 0.01% 올랐고, 경기·인천은 보합(0.00%)을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서초, 강남 등 고가 아파트가 많은 지역이 오른 반면 노원, 은평 등 중저가 아파트가 밀집한 지역은 하락했다. △서초(0.11%) △강남(0.07%) △영등포(0.04%) △마포(0.03%) △강동(0.02%) △양천(0.02%) 등이 상승했다. 반면 △노원(-0.06%) △은평(-0.05%) △관악(-0.04%) △중랑(-0.03%) △성북(-0.02%) 등은 떨어졌다.
신도시 아파트 매매가격은 1기 신도시의 재건축 기대감이 이어지면서 0.01% 상승했다. △분당(0.10%) △일산(0.05%) △중동(0.04%) △산본(0.01%) △김포한강(0.01%) 등이 오른 반면 △광교(-0.14%) △동탄(-0.11%) 등은 하락했다.
경기·인천은 이번 주 보합(0.00%)을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이천(0.10%) △김포(0.04%) △파주(0.04%) △안양(0.03%) △평택(0.03%) △부천(0.02%) 등이 올랐다. 반면 △화성(-0.07%) △성남(-0.03%) △인천(-0.03%) △수원(-0.02%) 등은 떨어졌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은 이번 주 0.03% 상승하면서 올해 들어 가장 높은 상승폭을 기록했다. 임대차3법 시행 2년차인 8월을 앞두고 변동성이 커지는 모양새다. 신도시는 0.02% 하락했고, 경기·인천은 보합(0.00%)을 나타냈다.
서울 전세시장은 25개구 중 상승 8곳, 보합 11곳, 하락 6곳 등으로 나타났다. 보합(0.00%)이 다소 많았지만 주거 선호도가 높은 지역들의 오름세가 전체 상승을 이끌었다. △송파(0.11%) △서초(0.08%) △마포(0.05%) △영등포(0.05%) △강남(0.04%) △구로(0.03%) 등이 올랐다. 반면 △관악(-0.08%) △서대문(-0.05%) △성북(-0.04%) △중랑(-0.03%) 등은 하락했다.
윤지해 부동산R114 선임연구원은 “임대차3법 시행 2년차인 8월이 다가오면서 전세가격의 변동성이 커지고 있고, 과거 대비 높아진 전세가격 부담 영향으로 4월 전·월세 거래 중 월세 비중이 처음으로 절반을 넘기는 등 월세화도 가속화되는 분위기”라며 “임대차 보증금 담보대출은 상대적으로 규제가 덜하지만 금리 인상기 대출이자 부담이 지속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무주택 실수요층은 정부의 대출규제 완화를 앞두고 매매 혹은 전세와 월세 사이의 선택지를 두고 고민이 깊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서울 아파트값을 두고 민간은 상승, 공공은 하락이라는 엇갈린 통계를 내놔 시장 참여자들의 혼란은 커지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이 2일 발표한 ‘5월 5주(30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은 지난주 0.00%에서 이번주 -0.01%를 기록, 3월 넷째주(-0.01%) 이후 9주 만에 하락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경란 기자 mgr@viva100.com
'오늘의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화 앤디♥이은주, 웨딩화보 공개…12일 비공개 결혼식 (0) | 2022.06.03 |
---|---|
기업·자영업자 빚 1600조원 넘어…증가폭 역대 두 번째 (0) | 2022.06.03 |
장윤정, ‘오히려 좋아’ MC 확정… '인생 2막’ 노하우 파헤친다 (0) | 2022.06.03 |
"저 결혼해요"…장나라, 6세 연하 비연예인과 6월 결혼 (0) | 2022.06.03 |
백신 미접종 해외입국자, 8일부터 격리의무 해제…"PCR 검사 의무는 유지" (0) | 2022.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