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릿지경제

[정치라떼] 김건희 여사, 연일 ‘구설수’ 제 2부속실 설치 갑론을박 본문

오늘의 기사

[정치라떼] 김건희 여사, 연일 ‘구설수’ 제 2부속실 설치 갑론을박

브릿지경제 viva100 2022. 6. 18. 09:47
728x90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가 13일 오후 경남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을 방문해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을 참배하고 있다. (연합)

“나 때는 말이야” 사람들이 현재를 지난날과 비교하며 지적할 때 자주 붙이는 말이다. 이를 온라인상에서는 ‘나 때’와 발음이 유사한 ‘라떼’라고 부른다. 브릿지경제신문은 매주 현 21대 국회 최대 현안에 관해 지금은 국회 밖에 있는 전직 의원들의 훈수, 라떼를 묻는다. 여권에선 국민의힘의 김재경·홍일표 전 의원, 제1야당 더불어민주당에선 이목희·김형주 전 의원이 나섰다.


윤석열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가 연일 공개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김 여사는 윤 대통령이 참석한 여러 공개행사에 동행한 것 이외에도 최근 전직 대통령들의 영부인들을 방문하며 영부인 활동에 대한 조언을 구하고 있다.

김 여사는 지난 5월 이명박 전 대통령 부인 김윤옥 여사,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부인 권양숙 여사를 차례대로 만났고 16일에는 서울 서대문 연희동에 위치한 전직 대통령 고(故)전두환 씨의 부인 이순자 씨를 만나기도 했다.

하지만 김 여사는 인수위 시절 한남동의 장관 공관들을 혼자 돌아다니며 ‘공관 쇼핑’을 했다는 의혹이 제기된데 이어, 지난 주말 시내 유명 제과점에서 빵을 구입하러 나서면서 경호처가 시내 교통을 과도하게 통제해 시민들의 불만이 터져나오기도 했고, 지난 12일 북한이 방사포를 발사한 날에 배우자인 윤 대통령과 시내 영화관에서 나란히 영화를 보는 등의 행보를 보이며 논란의 중심에 섰다.

또 반려견을 데리고 한강 산책을 하거나 용산 대통령실 집무실을 방문한 비공개 사진이 대통령실이 아닌 김 여사 팬클럽 사이트를 통해 공개되며 논란을 낳았고, 봉하마을을 방문할 당시에는 외부에 알려지지 않은 지인을 대동해 ‘비선’ 논란까지 촉발 시켰다.

연일 김 여사의 행보가 구설수에 오르자 여야에서는 영부인을 담당하는 ‘제2부속실’의 부활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며 김 여사의 공개 활동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윤 대통령이 대선 시절 김 여사에 대한 각종 의혹을 진화 하는 차원에서 ‘제2부속실’ 폐지를 대선 공약으로 걸었던 만큼, 제2부속실의 부활은 당분간은 어려울 전망이다.

이에 대해 지난 15일 윤 대통령은 용산 대통령실 출근 길에 기자들을 만나 ‘제2부속실’설치에 대해 “대통령을 시작한지 얼마 안되서 한번 국민 여러분들의 여론을 들어가면서 차차 생각해 보겠다”고 말했고, 대통령실 역시 제2부속실 설치에 대해 “검토한 바 없다”는 입장을 냈다.

국민의힘 김재경 전 의원은 “(김 여사의)행보 자체가 공적인 성격을 배제할 수는 없다. 빵 사러가는 것은 사적이지만, 전직 영부인들을 만나러 가는 것은 공적인 성격에서 벗어날 수 없다”며 “그렇다면 모든 행보에 있어서 따라가는 절차와 관련된 것들 역시 라든지 공적인 절차에 따라야 말도 없고 부작용도 없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다만 윤 대통령이 대선 과정에서 ‘(부인이)그런 역할을 안 하겠다’고 선을 그어버리니까 논란이 생기는 것”이라며 “공개 행사를 할려면 공적인 절차와 요식에 따라야 한다. 아니라면 당초의 약속대로 외부행사는 자제하고 집에서 내조만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제2부속실 설치 논란’을 두고는 “개인적으로는 굳이 만들어야 할지 모르지만 어쨌든 그 기능은 필요하다는 생각이다”라며 “새롭게 부서를 만들던지 이전처럼 제2부속실을 만들던지 어떻게든 영부인을 전담할 곳은 필요 하다”고 말했다.

이어 같은 당의 홍일표 전 의원은 “조용히 내조한다더니 왜 돌아다니느냐는 비판이 야권에서 있는데 대통령 부인으로 할 일도 있고, 전직 대통령 영부인을 만나는 건 문제가 없다고 본다. 다만 그런 부분에서 국민들에게 양해를 구해야 하고, 앞으로의 활동에 대한 입장도 밝혀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또 보조하는 인력에 대해서도 공적으로 지원 할 수 있게 해야하는데 아무나 데리고 다니면 지금처럼 ‘비선 논란’이 커진다”며 “그러니 공식적으로 활동 할 수 있는 곳(제2부속실)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김 여사 지인의 ‘비선 논란’에 대해서는 “우선 대통령실의 채용 기준을 봐야한다. 그 사람들이 어떤 사람들이냐가 중요하다”며 “과거에 비리나 범죄이력 같은 흠이 있는 인물이라면 문제가 되겠지만 단순하게 ‘왜 아는 사람을 쓰느냐’고 비판하기보다도 인물들을 투명하게 검증하는 절차가 필요하다는 생각이다”라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의 이목희 전 의원은 “대통령 부인이란 사람이 문자 그대로 집에서 살림만 할 수는 없다”며 “대통령 부인은 개인이 아니다 공적인 인물이다. 그러면 지원 할 수 있는 시스템이 받쳐줘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이 (제2부속실을)없애는게 아니었다. 영부인이 어디 가는데 단순히 사생활 측면으로만 볼 수 없다”며 “어디를 간다고 하면 정부부처의 인물이나 대통령실의 직원들이 당연히 따라갈 수 있다. 영부인 일을 수행하는데 보좌한 곳을 없앤 것 자체가 잘못된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 전 의원은 김 여사의 ‘비선’ 논란이 불거진 것을 두고는 “예를 들어 대통령이 일을 하는데 대통령 비서실, 보좌진도 부족하다면 사회 원로들, 비상근특별보좌역등을 둘 수는 있는데 대통령 부인이 그걸 둔다는건 말이 안된다”며 “영부인은 사회의 그늘진 곳 소외된 곳을 챙기는게 전통적인 역할이다. 쉽게 예를 들어 장관이 공적업무 수행하는데 친구가 따라가면 되겠는가”라고 지적했다.

같은 당의 김형주 전 의원도 “김 여사가 대선 당시 본인이 스스로 ‘조용한 내조를 하겠다’ 이야기 했음에도 말과는 다르게 공개 행보를 하고 있다”며 “이럴 거면 제2부속실을 만들던가, 대통령실에 영부인 담당 비서진을 만들어서 공식적인 통제를 받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지금처럼 공식적인지 비공식인지 애매하게 놔둬 버리면 사고가 난다”며 “윤 대통령이 말은 ‘탈권위’라고 하면서 (김 여사의)행보를 방치하고 있는데 매우 부적절한 행위라고 본다”고 말했다.

‘비선’ 논란에 대해서는 “해당 인물이 인수위에서 자문위원도 했던데, (김 여사가)원래부터 알고 있던 친구를 집어 넣은 것으로 본다. 그렇게 자연스럽게 ‘비선’이 되는 것”이라며 “그걸 대통령실이 너무 안이하게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팬클럽 운영한다는 강신업 변호사라는 사람도 결국은 김 여사의 최측근이 되어서 제2부속실이 만들어진다면 실장 같은 역할을 하고 싶은 것”이라며 “대통령실이 이런 것에 예민하게 굴고 사전에 차단하지 않으면 어떤 사고가 터질지 모른다”고 우려했다.

권규홍 기자 spikekwon@viva100.com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