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릿지경제
추경호 부총리, 美 재무와 러시아산 원유 ‘가격 상한제’ 동참 문제 협의 본문
미국 등 주요 7개국(G7)이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가격 상한제’를 도입하기로 합의한 가운데, 한미 양국이 한국의 동참 문제에 대해 협의했다.
기획재정부와 미국 재무부는 2일 오전(한국시간) 동시에 보도자료를 내고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재닛 옐런 재무부 장관이 지난 1일 오후 9시 진행된 콘퍼런스콜(전화 회의)에서 이 문제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기재부에 따르면, 옐런 장관은 에너지 가격 안정과 러시아의 수익 감소를 위해 러시아 원유에 대한 가격 상한제 시행이 필요하다고 언급하며 G7 등 국제사회의 논의 동향을 설명했다.
두 사람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책임을 묻는 것과 정의롭지 않고 불법인 활동의 재원으로 사용되는 러시아산 원유의 수입을 제한하기 위해 가격 상한을 두는 것의 장점을 비롯해 협력 분야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추 부총리는 “한국도 국제 유가 급등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에 직면하고 있다”며 “가격상한제 도입 취지를 이해한다”면서 “가격상한제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방안이 도출되는 대로 공유 해달라”고 미국 측에 요청했다.
G7 정상회의에서 합의된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가격 상한제는 러시아가 에너지 판매 대가로 받는 돈을 제한하면서 동시에 고(高)유가 문제에도 대응하겠다는 구상이다. 원유 가격상한제를 지킨 경우에만 원유 수송에 필요한 보험을 제공하는 방식 등이 방법으로 거론된다.
추 부총리와 옐런 장관은 또 한미 양국이 각종 경제 현안과 대(對)러 제재 등에 있어 긴밀한 공조체제를 유지해온 것을 높이 평가하고, 앞으로도 변함없이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이달 중순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와 옐런 장관의 방한(이달 19~20일) 때 직접 만나 주요 경제 현안에 대해 추가로 논의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미국 재무부는 지난달 30일 옐런 장관의 방한 시 공급망 및 대러시아 제재 강화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옐런 장관의 방한에 앞서 재무부 브라이언 넬슨 테러·금융정보 담당 차관도 지난달 27~29일 한국을 방문해 제재 문제 등을 논의한 바 있다.
이원배 기자 lwb21@viva100.com
'오늘의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폭염 위기경보 수준 ‘주의→경계’ 상향…지난해보다 18일 빨라 (0) | 2022.07.02 |
---|---|
신규 확진 다시 1만명대로…신규 확진 1만715명, 유행 반등세 뚜렷 (0) | 2022.07.02 |
[정치라떼] 민주, ‘7월 임시회’ 소집요구에 여야 충돌…국힘 “일방적 밀어붙이는 건 안돼” vs 민주 “협상 하더라도 원구성 해놓고 해야” (0) | 2022.07.02 |
[신간 베껴읽기] <이그노벨상 읽어드립니다> 김경인 이윤형 김태훈 (0) | 2022.07.02 |
추경호 “하반기 수출 녹록지 않아… 주52시간제 개선 필요” (0) | 2022.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