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릿지경제
서울 아파트 전셋값 4년전보다 2억 올라..탈서울 빨라진다 본문
내달 임대차2법 시행(계약갱신청구권·전월세상한제) 2년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은 4년 전에 비해 2억원 가량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오른 전세가격에 부담을 느끼는 전세난민의 탈서울 행렬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6일 분양 분석 전문회사 리얼하우스가 한국부동산원 시세를 분석한 결과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은 2018년 8월 4억3419만원에서 2022년 5월 6억3338만원으로 1억9919만원이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지역은 같은 기간 1억3807만원(2억4274만원→3억8081만원), 인천지역은 8775만원(1억9883만원→2억8658만원)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문제는 오는 8월부터 서울 전세난민의 탈서울 행렬이 가속화될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서울 등 임대시장이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고는 하지만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한 전세계약이 매달 2000~3000건(2021년 서울 임대차 실거래 거래 평균 기준 추정치) 가량 나올 전망이어서 서울 전세난민의 탈서울 행렬을 가속화 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임대차 2법은 세입자가 집주인에게 전·월세 계약을 한차례 연장을 요구할 수 있고 임대료도 종전 계약의 5% 이내에서만 올릴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집주인은 특별한 이유가 없을 경우 이를 받아 들여야 한다. 계약갱신청구권과 전월세상한제 등 임대차2법은 2020년 7월 31일 시행됐다.
그러나 법에 따라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한 경우 다음 계약에서는 가격 상한 제한이 없어진다. 전세계약 후 4년 기간에 계약을 한 세입자들이 전세 갱신을 하기 위해서는 주변 시세에 따라 한꺼번에 전세금을 올려주거나 이사를 나가야 한다.
실제 통계청 자료를 보면, 서울 인구는 매년 평균 10만명씩(2012~2021년) 감소하고 있다. 경기 지역에 새 둥지를 트는 세입자들이 대부분이지만, 최근에는 인천지역으로 이동하는 이들도 증가하는 추세다. 올해 들어 5월까지 서울에서 경기와 인천으로 이동한 인구수는 각각 2만2626명, 3885명으로 나타났다. 서울에서 인천지역으로의 이동한 인구수는 작년 1~5월 대비 40% 증가한 수치다.
이에 4년전 서울 전세 가격(4억 중반)으로 매입이 가능한 지역에 수요자들의 관심도 쏠리고 있다. 먼저 GTX-A 예정지역 중 파주(운정)만 4억원대 초반이다. 서희건설은 GTX-A 운정역 이용이 가능한 ‘GTX 운정역 서희스타힐스’(가칭)을 올 하반기 분양할 예정이다. GTX-A노선은 파주·화성에서 삼성· 수서를 잇는 노선으로 2024년 개통되면 경기도에서 강남까지 20분대에 도달이 가능하다.
GTX-B 정차역 중 연수구를 제외한 인천은 매매가 평균이 4억원대 초반이다. 두산건설은 GTX-B 부평역 이용이 가능한 ‘인천 두산위브 더센트럴’을 7월 분양한다. 단지는 지하 3층~지상 29층, 12개동, 총 1321가구 규모로 조합원 물량을 제외한 785가구가 일반 분양된다.
GTX-C 예정지역 중 의정부는 4억원대, 양주는 3억원대이다. SM경남기업은 GTX-C 의정부역 이용이 가능한 ‘장흥역 경남아너스빌 북한산뷰’를 분양중이다. 단지는 지하2층~지상19층, 8개동, 총 741가구로 전용면적 84㎡ 단일면적으로 구성됐으며, 전용 84㎡의 분양가는 4억원대 중후반대다.
GTX-D 예정지역 중 인천지역은 4억원대 중반 이하다. 동부건설은 GTX-D 검단역 이용이 가능한 ‘인천 검단 16호 공원 공동주택 개발사업’을 8월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2층~지상27층 규모로 공동주택 878가구 9개동과 부대·복리시설 등을 지을 계획이다.
문경란 기자 mgr@viva100.com
'오늘의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사비서관 부인 나토 순방 동행 논란…대통령실 “윤 대통령 부부와 오랜 인연” (0) | 2022.07.06 |
---|---|
김종인, 윤 대통령 지지율 하락에 “장기화되면 국정운영 어렵다는 걸 스스로 알 것” (0) | 2022.07.06 |
테라스 캠핑, 살롱 같은 거실… 특별한 홈 스위트 홈 (0) | 2022.07.06 |
정부, 탈원전 폐기 공식화…원전 비중 2030년 30% 이상으로 확대 (0) | 2022.07.05 |
집권초 지지율 저조 늪에 빠진 정부여당…인사문제·국정운영전략 부재 등 원인 (0) | 2022.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