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릿지경제

가장 먼저 급등했던 신축아파트… 집값도 가장 먼저 빠져 본문

오늘의 기사

가장 먼저 급등했던 신축아파트… 집값도 가장 먼저 빠져

브릿지경제 viva100 2022. 8. 25. 11:12
728x90

서울시내 아파트 전경. (연합뉴스)

서울 공급 부족 우려와 수요층 쏠림 등으로 2017년부터 서울에서 가장 먼저 상승했던 신축아파트가 올해는 가장 먼저 약세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2022년(1~8월 누적) 서울 아파트의 연식별 매매가격 변동률을 조사한 결과 1~5년 차 신축아파트가 0.54% 하락했다. 같은 기간 입주 6~10년 차 준신축은 0.86%, 입주 10년 초과 구축은 0.69% 상승했다. 

 

2017년 문재인 정부는 투기 수요 억제를 목적으로 8·2대책을 발표하며 정비사업 관련 규제를 대거 도입한 바 있다. 이에 도심 주택 공급이 부족할 것이란 우려가 커지며 신축 아파트 매매가격이 급등했다.

실제로 2017년 입주 5년 이내 신축아파트 매매가격은 15.56% 상승했지만, 준신축과 구축은 상대적으로 낮은 12.68%, 13.56%의 변동률을 나타냈다.

이러한 흐름은 2018년과 2019년 당시에도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2020년 이후부터 준신축과 구축의 매매가격 상승폭이 신축아파트 수준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단기 급등 부담과 대출 규제, 금리 인상 환경에서 상대적으로 가격 수준이 높은 신축에 대한 매수 진입 장벽이 높아 상승 폭 둔화 속도가 빨랐고 하락 전환도 가장 먼저 이뤄진 것으로 해석된다”며 “다만 최근 5년 사이의 누적 변동률은 재건축 기대감이 일부 반영된 구축아파트의 상승폭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만큼 정부의 재건축 규제 완화 방향에 따라 앞으로의 방향성이 결정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문경란 기자 mgr@viva100.com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