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릿지경제

“헐값 매도자 신상공개하자”...급매 단속 나선 집주인들 본문

오늘의 기사

“헐값 매도자 신상공개하자”...급매 단속 나선 집주인들

브릿지경제 viva100 2022. 9. 29. 16:44
728x90

(사진=연합)

“헐값 매도한 사람 누구인가요? 신상을 공개해야 합니다”

심각한 부동산 경기 침체로 수억원씩 떨어진 급매 거래가 이어지면서 일부 단지에선 급매 단속 분위기까지 조성되고 있다. 급매 거래에 분노한 집주인들은 해당지역의 ‘자산가치를 떨어트린다’며 ‘매도자의 신상’을 요구하는 등의 지역 주민간에 여론이 형성되는 모습도 나타나고 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경기도 A단지 전용면적 59㎡가 최근 최고가 대비 3억원 이상내린 가격에 거래되자 부동산 거래 커뮤니티에 매도인과 매수인을 겁박하는 글들이 다수 올라왔다. 해당 커뮤니티에는 “24평 헐값에 매도한 사람 누구인가요? 본인 급하다고 이기적으로 피해를 주는 게 맞다고 봅니까?”, “매수자 신상도 현수막 걸어야 하는 거 아닐까요? 그래야 함부로 못 사죠”, “중개업소 이름부터 밝히자” 등 매도인과 매수인뿐 아니라 공인중개소까지 신상을 요구하는 글들이 다수 올라왔다. KB부동산에 따르면 A단지 전용면적 59㎡는 최근 5억3000만원에 거래됐다. 동일 면적 시세가 7억8000만 안팍인 것을 감안하면 2억5000만원 가량 낮춘 거래가 이뤄진 것이다. 지난해 최고가 8억7000만원 보다도 3억 4000만원 떨어졌다.

문제는 현재 거래 물건의 동과 호수, 매도인의 이익 규모까지 밝혀지고 있는 상황인 것이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최근 일부 부동산 플랫폼에선 실거래가에 대한 매물 동 호수까지 공개되고 있는 상황이라 쉽게 매도자에 대한 신상을 알아낼 수 있다”고 전했다.

이 같은 분위기는 서울을 비롯해 수도권과 지방 등 전국 각지에서 포착되고 있는 상황이다.

서울의 B단지의 전용 84㎡도 최근 직전 거래가 16억4000만원에 비해 1억6000만원 저렴한 14억8000만원에 계약이 체결되면서 “이웃들 재산 다 깎아 먹는 다” 등의 비난의 글들이 부동산 커뮤니티에 올라오기도 했다.

서울의 C단지의 경우도 전용 59㎡가 최근 최고가대비 4억원 가까이 빠진 9억8000만원에 팔리자 이 같은 비난의 글들이 잇따라 해당 지역 커뮤니티에 올라오며 매도자를 색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급매물을 거래해 준 공인중개업소도 비난을 받는 상황이다. 호가를 유지해 달라는 항의 전화 등 홈페이지에서 매물을 내리는 경우까지 발생할 정도다. 이에 공인중개사들은 급매의 경우 개별로 직접 알리는 방식으로 거래를 성사시키는 상황이다.

서울 한 공인중개소 관계자는 “아들 집을 사주겠다며 급매가 나오면 연락을 달라는 고객들에게 개별적으로 연락해 거래를 성사시킨 적 있다”면서 “부동산 경기가 워낙 안좋다 보니 집주인들이 더 예민해진 분위기”라고 전했다.

한편, 공인중개사법은 가격 담합 등의 행위를 엄밀히 금지하고 있으며, 적발될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

채현주 기자 1835@viva100.com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