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릿지경제

식약처, ‘김치→파오차이 표기' 뒤늦게 사과…“영상 즉시 삭제” 본문

오늘의 기사

식약처, ‘김치→파오차이 표기' 뒤늦게 사과…“영상 즉시 삭제”

브릿지경제 viva100 2022. 4. 14. 14:09
728x90

김치찜을 ‘파오차이’라 표기한 장면. (사진=서경덕 교수 SNS 캡처)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가 유튜브 영상에 김치를 ‘파오차이’(泡菜)로 표기한 것에 대해 사과했다.

식약처는 14일 “2월 10일 식약처 유튜브에 게시된 ‘임산부 건강을 위한 나트륨 다이어트-덜 짜게 먹기 1편’ 제목의 중국어 자막 영상에 파오차이 표기가 등장한다”며 “잘못된 표기로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드린 점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이어 “콘텐츠를 4개 국어(한국어·영어·중국어·베트남어)로 제작, 번역하는 과정에서 김치의 중국어 표기가 파오차이로 잘못 표기됐다”면서 “지난해 7월 22일 김치의 중국어 표기 용례가 신치로 변경됐으나, 동영상 제작 과정에서 이를 세심히 확인하지 못해 표기 오류가 발생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표기 오류를 인지한 즉시 해당 동영상을 삭제했고, 이번 사례를 계기로 식약처 누리집, 홍보 자료 등에 올바른 외국어 표기법이 적용될 수 있도록 면밀히 살피고 오류가 재발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드린 점 다시 한번 깊이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거듭 밝혔다.

문제가 된 영상은 지난 2월 10일 식약처가 유튜브에 게시한 ‘임신부 건강을 위한 나트륨 다이어트, 덜 짜게 먹기 1편’ 영상이다. 제목의 중국어 자막 영상에 파오차이가 두 번 등장한다.

‘파오차이’는 고추나 양배추 등을 염장한 중국 쓰촨 지역 절임 식품이다. 중국은 동북공정의 일환으로 김치의 기원이 파오차이에 있다는 주장을 펼쳐왔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해 우리 고유의 발효 음식인 김치의 중국어 번역과 표기를 ‘신치’(辛奇)로 밝혔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식약처는 김치와 관련한 다양한 일을 진행하는 기관”이라며 “이런 실수를 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서 교수는 “중국어 자막 영상에서 파오차이 표기가 두 번이나 나온다”며 “지난해 문화체육관광부는 우리나라 고유의 발효음식 김치의 중국어 번역 및 표기를 신치로 명시했는데, 같은 정부 기관에서 이런 실수를 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박자연 기자 naturepark127@viva100.com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