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릿지경제

국감 소환·정부 경고에도…식품업계, 아랑곳 않고 가격 인상 본문

오늘의 기사

국감 소환·정부 경고에도…식품업계, 아랑곳 않고 가격 인상

브릿지경제 viva100 2022. 9. 28. 16:36
728x90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의 모습. (사진=연합)

정부가 물가 안정을 위해 가공식품 가격 통제에 나서고 국회도 식품업체 CEO들을 증인으로 소환했지만, 식품업체들은 줄줄이 가격 인상 대열에 합류하고 있다.

국회는 최근 CJ제일제당과 오리온, 농심, 오뚜기 등 국내 주요 식품사 수장들을 국정감사 증인으로 대거 소환신청했다.

28일 국회 및 업계에 따르면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이하 농해수위)는 내달 4일 열리는 국감에 CJ제일제당 임형찬 부사장, 오리온농협 박민규 대표이사, 농심 미분 박상규 대표이사, 오뚜기 황성만 대표이사, SPC삼립 황종현 대표이사 등 총 44명의 일반증인 및 참고인 출석요구안을 가결했다.

특히 CJ제일제당 임형찬 부사장은 쌀값이 하락했음에도 햇반 가격이 인상된 사안과 햇반 컵반 등에 미국산 쌀을 사용하게 된 경위 등에 대해 추궁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오리온과 농심, 오뚜기 등은 추석 연휴 이후 라면과 스낵류 등의 가격을 과도하게 올린 게 아니냐는 질의가 오갈 것으로 보인다.

치킨 프랜차이즈 3사도 국감장으로 향한다.

오는 7일 윤홍근 제너시스BBQ 이사회 의장과 권원강 교촌F&B 의장, 임금옥 BHC 대표도 치킨가격 인상과 관련해 증인으로 출석할 예정이다.

이처럼 식품업계 수장들을 국감에 대거 소환 신청한 것은 정부가 관세 인하 등 물가를 낮추기 위해 여러 대책을 내놨지만, 기업들이 이를 소비자 판매 가격에 반영하지 않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에 앞서 27일 농식품부는 식품업계와 물가안정 간담회를 열고 올 상반기 식품업체들의 영업이익이 늘었음을 상기한 후 “고물가에 기댄 부당한 가격 인상을 자제해 달라”고 밝혔다. 간담회에는 CJ제일제당, 대상, 오뚜기, 삼양식품, 동서식품, 롯데칠성음료 등 식품업체 임원진이 참석했다.

권재한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실장은 “한 번 오른 식품가격은 떨어질 줄 모른다는 소비자들의 비판을 겸허히 경청하고 고물가에 기댄 부당한 가격 인상이나 편승 인상 자제가 요구된다”면서 식품업계의 가격 인상 자제를 당부했다.

정부가 식품업계를 직접 불러 가격인상 억제를 말한 건 이번 정부들어 처음이다. 앞서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회재정부장관은 역시 지난 19일 민생물가 점검회의에서 부당한 가격 인상에 대해 소관부처와 공정거래위원회가 분야별로 합동 점검할 계획이라며 식품업계의 가격인상에 대해 경고한 바 있다.

하지만 연이은 정부의 경고와 국감장 소환에도 불구하고 식품업체들의 가격 인상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라면, 김치 등 가격이 줄줄이 오른데 이어 삼양식품과 빙그레는 내달 과자 가격을 최대 200원 인상할 계획이다. 삼양식품은 10월 1일자로 ‘사또밥’과 ‘짱구’ 가격을 1300원에서 1500원, ‘별뽀빠이’는 800원에서 900원으로 올린다. 빙그레도 ‘꽃게랑’, ‘야채타임’ 등 과자 6종 가격을 1500원에서 1700원으로 13.3% 인상한다. 오리온도 이달 15일부터 전체 60개 생산제품 중 파이, 스낵, 비스킷 등 16개 제품의 가격을 평균 15.8% 올렸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3~6개월 전에 미리 밀가루, 팜유 등 원재료 사놓는 만큼 이들 가격이 현재 하락세를 보여도 원재료값 상승분에 대한 부담이 여전히 존재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박자연 기자 naturepark127@viva100.com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