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릿지경제
“니나 가만히 계세요”… 尹 대통령 발언 두고 막말 오간 복지위 ‘파행’ 본문
윤석열 정부 첫 보건복지부 국정감사가 여야 의원 간 반말과 고성으로 얼룩졌다.
5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 열린 보건복지부 국정감사장에서 복지위 여당 간사인 국민의힘 강기윤 의원이 더불어민주당 김원이 의원에게 “니”라고 발언한 것이 도화선이 됐다.
앞서 이날 야당 의원들은 지난달 27일 윤석열 대통령이 세종시 한 어린이집을 방문해 한 발언과 관련해 복지부에 집중 공세를 펼쳤다.
당시 윤 대통령은 “난 아주 어린 좀 영유아들은 집에서만 있는 줄 알았다”고 발언해 영유아 보육 문제에 무지한 것 아니냐는 비판을 받았다.
이어 “아나바다(아껴쓰고 나눠쓰고 바꿔쓰고 다시쓰기)가 무엇이냐”고 질문해 기본적인 경제 상식도 모르는 것 아니냐는 질타를 동시에 받았다.
이에 민주당 서영석 의원은 조규홍 복지부 장관을 향해 “대통령께서 외교 참사에 이어 보육 참사까지 만들어냈다. 이래서야 대통령이 어린이집에 아이를 맡기고 보육하는 직장인분들의 마음을 어떻게 이해하겠나. 그리고 온 국민이 아나바다 운동하지 않았나. 대통령이 이런 기본적인 것조차 모르는 게 말이 되나. 대통령은 이걸 몰랐다 해도 복지부는 뭘 했나. 옆에서 조언해야 하는 것 아닌가”라며 질타했다.
민주당 김원이 의원도 “복지부가 대통령을 어떻게 서포트하나 찾아봤는데 복지부는 어린이집 방문 행사에 대한 충분한 보고를 한 것으로 보인다. 입수한 자료를 보면 행사보고서에는 대통령의 이동 동선부터 어떤 말을 하는지에 대한 시나리오가 다 있다. 특히 대통령이 모른다던 아나바다에 대한 뜻도 다 나와 있다. 결론은 대통령실이 제대로 일을 못 했거나 대통령이 이걸 읽지 않은 것 아니냐”고 질의했다.
이와 관련 조 장관은 “자료를 복지부가 만든 건 맞다. 그렇지만 어떤 자료가 대통령실과 대통령께 올라간지는 모른다. 또 대통령이나 수석께서도 당일 상황에 맞춰 행보하고 말씀하시기 때문에 이 자료만 보고 (대통령의 잘못이라고) 판단하는 건 아닌 것 같다”고 답했다.
윤 대통령의 발언을 두고 야당의 집중 공세가 이어지자 여당 간사인 강기윤 위원은 의사진행발언을 요청했다. 강 의원은 “왜 국정감사장에서 (보건복지와 관련이 없는) 대통령의 발언을 정쟁화하는지 위원장님은 제대로 (의사진행을) 해주시길 바란다”고 지적했다.
이에 야당 간사인 강훈식 위원은 “국회의원은 국민을 대신해 묻는 자리이기 때문에 국정감사장에선 어느 대통령이든 가리지 않아야 한다. 또 개별 의원의 발언에 대해 평가하는 것도 적절치 않다. 서로 간의 발언을 존중해달라”고 발언했다.
이어 민주당 김원의 의원도 “강기윤 의원의 발언은 명백하게 선을 넘은 발언이다. 동료 의원이 복지부를 상대로 한 질의를 왜 품평하는 것이냐”며 “그런 발언은 본인 질의 시간에 복지부를 옹호하시든 설명하시든 하라”고 요청했다.
그런데 김원의 의원의 발언 도중 강기윤 의원이 항의 발언을 이어 나갔고, 이에 김원의 의원이 “좀 가만히 계세요”라고 말하자 강기윤 의원이 “니나 가만히 계세요”라고 받아치면서 두 의원 간 설전이 시작됐다.
두 의원은 “니나요? 뭐라 그랬어요?”, “니나라고 그랬다”, “동료 의원한테 니나라니요. 사과하세요”, “당신(김원의 의원)한테 말한 적 없다”, “실명으로 이야기하셨잖아요”, “난 김원이라고 말하지 않았다”, “니나라니요 동료의원한테 그게 뭡니까 빨리 사과하세요”, “훈계하지마”, “제가 언제 훈계했어요, 여보세요 저는 말 올려드리는데 니나라니요”라며 고성 섞인 공방을 이어나갔다.
결국 복지위 정춘숙 위원장은 감사 진행을 중지하는 정회를 선언했다. 복지부와 질병관리청을 대상으로 하는 국정감사는 이날 오후 다시 재개된다.
세종=이정아 기자 hellofeliz@viva100.com
'오늘의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쌍용차 토레스, 그랜저 아성도 넘어섰다…9월 판매대수 2위 (0) | 2022.10.05 |
---|---|
이재명, 윤석열 정부 겨냥 “무능·실패 숨기려 야당탄압…국민에 대한 예의 아냐” (0) | 2022.10.05 |
새 아파트서 인분 발견…입주민 '경악', 회사는 '무보상' (0) | 2022.10.05 |
정부, 택시부제 해제·수도권 호출료 인상…타다·우버도 활성화 (0) | 2022.10.04 |
[시승기] 폭스바겐 ID.4, 독일 전기차의 정석 (0) | 2022.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