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릿지경제
작년 7조원대 종부세 절반, 상위 1%가 냈다…상위 1%, 평균 363억원 부동산 보유 본문
7조3000억원에 달하는 지난해 종합부동산세의 절반은 납부자의 상위 1%가 낸 것으로 조사됐다.
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작년 종부세 결정세액 7조2681억원의 49.2%(3조5756억원)는 납부자 상위 1%(1만166명)가 부담했다. 1인당 평균 세액은 3억5100만원이었다.
종부세 납부 상위 1%는 1만166명으로, 이들의 과세표준 합계는 369조2366억원이었다. 한 사람당 평균적으로 363억원 과세표준에 해당하는 부동산을 가진 셈이다.
범위를 더 좁혀보면, 종부세 납부자 상위 0.1%(1016명)는 전체 종부세 결정세액의 30.8%(2조2359억원)를 냈다. 1인당 평균 세액은 22억68만원이었다.
상위 0.1%의 과세표준은 243조760억원이며 한 사람당 평균 과세표준은 2392억원이었다.
종부세 납부자 하위 20%(20만3331명)는 전체 세액의 0.4%인 266억원을 냈다. 과세표준은 11조6769억원이었다.
종부세 납부 인원과 세액은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해 종부세 납부 인원은 전년 대비 36.7%, 세액은 86.3% 각각 증가했다. 이 중 결정세액은 상위구간보다 하위구간에서 증가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2020년 대비 2021년 종부세 납부자 상위 0.1%의 결정세액은 36.8% 증가했고, 상위 1%의 결정세액은 48.4% 증가했다. 같은 기간 하위 20%의 결정세액은 121.3%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진 의원은 “소수에 편중된 종부세는 부의 쏠림 현상을 보여준다”면서도 “하지만 일시적 2주택자와 장기보유자를 비롯한 실거주자의 세부담을 완화하는 등 종부세의 합리적 개선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재호 기자 cjh86@viva100.com
'오늘의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라인쇼핑몰 ‘오시싸’, 배송·환급 지연 논란…소비자원, 피해주의보 발령 (0) | 2022.10.06 |
---|---|
탈모인에 단비될까…캄보디아 야생식물 탈모 예방효과 확인 (0) | 2022.10.05 |
쌍용차 토레스, 그랜저 아성도 넘어섰다…9월 판매대수 2위 (0) | 2022.10.05 |
이재명, 윤석열 정부 겨냥 “무능·실패 숨기려 야당탄압…국민에 대한 예의 아냐” (0) | 2022.10.05 |
“니나 가만히 계세요”… 尹 대통령 발언 두고 막말 오간 복지위 ‘파행’ (0) | 2022.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