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릿지경제

‘감기약 대란’ 현실화… 보건당국·제약업계, 공급 확대 ‘총력’ 본문

오늘의 기사

‘감기약 대란’ 현실화… 보건당국·제약업계, 공급 확대 ‘총력’

브릿지경제 viva100 2022. 3. 23. 14:08
728x90

김강립 식품의약품안전처 처장(왼쪽)이 21일 충북 진천의 대원제약 생산 공장을 방문해 생산 현황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제공=식품의약품안전처)

코로나19 재택치료자가 늘어나면서 종합감기약·해열진통제 등의 ‘상비 의약품’ 품귀 현상이 좀처럼 풀리지 않고 있다. 보건당국과 국내 제약업계가 공급 확대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일선 약국과 편의점 등에서는 처방전 없이 구매할 수 있는 일반(안전상비) 의약품 감기약의 품절 사태가 발생하고 있다. 동아제약 ‘판피린’, 대원제약 ‘콜대원’, 동화약품 ‘판콜’, 삼일제약 ‘부루펜’ 등 소비자에게 잘 알려진 감기약은 사실상 구매가 어려운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감기약을 판매 중인 주요 제약사들은 이미 생산 설비 재조정을 통해 공급량을 최대한 늘리고 있다. 앞서 대원제약은 경기 화성 향남에 위치한 옛 공장 설비 일부를 콜대원 생산으로 전환했고, 동아제약도 생산 설비 재조정을 통해 어린이 해열제 ‘챔프’의 생산량을 1.5배가량 늘렸다.
 


또한 주·야간 철야 근무와 주말 특별 근무를 동원해 제조 공장을 가동하는 등 감기약 공급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

보건당국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21일에는 김강립 식품의약품안전처 처장이 충북 진천의 대원제약 생산 공장을 방문한 데 이어, 22일에는 김진성 차장이 경기도 안산의 삼일제약 공장을 찾아 생산 현황을 점검하고 현장의 목소리를 들었다.

식약처는 일단 감기약·해열진통제의 공급 안정을 위한 행정적 지원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이다. 공급 확대를 위한 허가·변경 등의 행정 절차로 생산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신속하게 검토하고, 고용노동부와 협의해 제약 업체 근로자의 근무 시간도 주 52시간 이상으로 연장할 계획이다.

또한 보건복지부와의 협조를 통해 코로나19 환자를 진료하는 의료진이 필요한 만큼만 의약품을 처방하고, 정제 처방이 가능한 청소년에게는 시럽제 대신 정제를 처방하도록 안내할 방침이다.

다만, 이번 감기약 품귀 현상이 앞으로의 코로나19 감염에 대비하기 위한 수요 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측면이 있는 만큼, 이른바 ‘가수요’를 줄일 필요가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업계 한 관계자는 “현 사태의 정점이 지나면 감기약 수요는 다시 줄어들 수밖에 없다”면서 “이런 상황을 알고도 당장 공급량을 늘리기 위해 생산 시설을 무작정 늘리기는 어렵다. 정부 차원에서 꼭 필요한 경우에만 감기약을 구매하도록 독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안상준 기자 ansang@viva100.com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