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릿지경제
“어디부터 팔까”… 다주택자 양도세 완화 추진에 ‘똘똘한 한채’ 가속 본문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다주택자 양도소득세(양도세) 중과를 1년간 배제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하면서, ‘똘똘한 한 채’ 중심지인 강남구 등의 매물은 감소한 반면 외곽·중저가 지역의 매물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부동산 빅데이터 아실에 따르면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다주택자 양도세 완화 방침을 공식화한 지난달 31일 이후 이날까지 서울 종로구 아파트 매물은 6.0%(445건→472건) 늘었다. 이어 마포구 5.2%, 강서구 4.2%, 중랑구 3.7%, 구로구 3.1%, 노원구 3.1% 등 순으로 증가했다. 반면, 집값이 가장 비싼 강남구 매물은 4147건에서 4075건으로 1.8% 감소했고, 용산구는 0.7%, 서초구는 0.4% 감소했다.
시장에선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완화 조치로 매물을 내놓는 집주인들이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수도권 외곽, 지방 아파트부터 매도하려는 사람들이 많고, ‘똘똘한 한채’로 표현되는 지역의 고가 매물은 시장에 끌어내기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우세했다.
KB국민은행 박원갑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보유세 부담을 감당하기 힘든 은퇴자 중심의 다주택자들이 먼저 매물을 내놓을 것으로 보이지만, 재건축 등 규제완화 호재가 있는 재건축이나 강남권 단지를 제외한 비강남권의 비재건축 매물이 먼저 나올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양도세 중과 배제로 지역별 양극화가 더 심화되고 ‘똘똘한 한 채’ 수요는 몰릴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양도세 중과 배재로 일부 매물 증가할 수 있지만 똘똘한 한 채로 집중되고 수요가 몰릴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며 “이에 따라 고가 매물 지역의 가격 상승은 불가피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강남권 등 고가 매물을 시장에 끌어내기 힘든 걸림돌 중 하나로 토지거래허가제가 거론된다. 압구정·여의도·성수·목동과 잠실·대치·삼성동 등 현재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여 있는 곳에선 매수자가 3개월 이내에 잔금을 치르고, 6개월 이내에 직접 입주해야 주택을 매수할 수 있다. 또 임대차 계약이 많이 남은 집은 매물 유도 효과가 제한적일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잠실의 한 중개업소 대표는 “토지거래허가구역은 실입주자만 집을 살 수 있는데 계약갱신청구권이 남아 있는 집은 임차인 때문에 1년 내 매도가 어려울 것”이라며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풀어주거나 1년 시행 후 유예기간을 연장하는 방안도 고려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채현주 기자 1835@viva100.com
'오늘의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규확진 사흘째 20만명… 방역당국 “확진자 중간고사, 교육당국 관리계획 마련시 지원” (0) | 2022.04.07 |
---|---|
'대통령 집무실 특수' 용산…아파트·연립 매매가 상위 5곳 중 4곳 차지 (0) | 2022.04.07 |
하태경, 서울시당 강용석 복당 승인에 ‘제정신 아냐’ 직격…“최고위서 부결돼야” (0) | 2022.04.07 |
'내년 IPO 도전' 11번가, 성장가능성 증명이 관건 (0) | 2022.04.07 |
항노화 제품·말벗로봇… 노후행복 기술이 뜬다 (0) | 2022.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