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릿지경제
‘카플레이션’ 장기화에…저렴한 자동차 사라진다 본문
자동차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카플레이션(Car와 Inflation의 합성어) 현상이 우크라이나 사태로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완성차 업계의 수익성 우선 전략과 환경규제 강화로 저렴한 자동차가 사라지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자동차연구원(한자연)은 11일 발표한 산업 동향 보고서에서 “우크라이나 사태와 반도체 공급난, 소재가격 급등에 따라 각국의 신차·중고차 가격이 고공행진 중”이라며 “정부는 차 관련 세제를 전반적으로 재검토하고, 생산비용 절감을 위한 지원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자연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글로벌 자동차 부품 공급망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카플레이션은 장기화할 조짐을 보인다고 전망했다. 특히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러시아산 네온과 팔라듐 공급에 차질이 생기고 우크라이나산 와이어링 하네스 등 부품 공급난을 우려했다.
여기에 대(對)러시아 경제제재에 따른 국제 유가 상승, 러시아 육상 운송 제한에 따른 물류비용 증가가 자동차를 포함한 제조업 전반의 인플레이션을 자극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카플레이션 장기화에 완성차 기업들의 수익성 전략 강화와 환경 규제로 저렴한 자동차는 시장에서 사라지고 있다고 한자연은 전했다.
실제 완성차업체들은 대당 이익률이 낮은 소형 세단·해치백 생산을 줄이고 대신 수익성이 높은 스포츠유틸리티차(SUV)나 픽업트럭, 프리미엄 차종의 비중을 확대하고 있다. 여기에 배출가스 등 환경규제 대응 비용도 수익성이 낮은 차종을 시장에서 자연적으로 퇴출시키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한자연은 “2025년 발효 예정인 유로-7 환경 기준은 에너지 효율성이 높은 최신 내연기관차도 충족하기 어렵다”면서 “대응을 위해 대부분의 차종에서 파워트레인 전동화 등 추가 비용이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자연은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으로 한국을 포함한 각국 소비자의 실질 구매력이 감소하고 있다며 소비자가 신차 구매를 포기·연기하는 경향을 보일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어 중국 완성차업체들이 이 틈을 타 부상할 가능성을 우려했다.
저렴한 자동차의 선택지가 줄어들면서 생계 수단으로서의 자동차에 대한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한 정책적 고려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한자연은 조언했다.
한국자동차연구원 이호중 책임연구원은 “정부는 자동차 구매여력 변화에 대응해 차 세제 전반을 재검토하고 자동차 생산비용을 구조적으로 절감하기 위한 지원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면서 “중복과세 여지가 있는 세목을 정리하고 취약계층의 세금 감면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태준 기자 tjkim@viva100.com
'오늘의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상호 “윤석열 특사 박진, 바이든 만남 불발… 어이없는 외교 참사” (0) | 2022.04.11 |
---|---|
잠들었던 '원조' 깨어난다… 일촌들아 기억나니? (0) | 2022.04.11 |
[비바BTS] 시티프로젝트 다른 가수·도시로 확장된다 (0) | 2022.04.10 |
황금빛 도시? NO! BTS 먹고 즐기는 ‘보라해가스’ (0) | 2022.04.09 |
‘골프 황제’ 타이거 우즈, 교통사고 이전과 이후 퍼트 라인 보는 자세 ‘달라졌네요’ (0) | 2022.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