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릿지경제

가상화폐 '루나' 사태의 여진‥금융당국, 뒤늦게 긴급 점검 본문

오늘의 기사

가상화폐 '루나' 사태의 여진‥금융당국, 뒤늦게 긴급 점검

브릿지경제 viva100 2022. 5. 18. 10:18
728x90

서울 서초구 빗썸 고객센터. (사진=연합뉴스)

한국산 가상화폐 루나 사태로 전 세계 코인 시장이 뒤흔들리는 등 여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금융당국이 국내 코인 거래소를 대상으로 대대적인 점검에 나섰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가상화폐 루나와 테라USD(UST) 폭락 사태로 인한 시장 충격으로 부터 투자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국내 투자자 현황과 국내 거래소들의 대응책 등을 파악 중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가상자산시장의 신뢰도 저하와 이용자 피해 발생이 우려되는 상황으로, 이번 사태와 관련해 피해상황, 발생원인 등을 파악하고 있다”고 전했다.

 

스테이블 코인(달러 등 법정화폐에 연동하도록 설계된 가상화폐) 테라와 자매 코인 루나가 최근 연일 폭락하며 가상화폐 시장의 뇌관으로 떠올랐다. 테라는 코인 1개당 가치가 1달러에 연동되도록 설계됐고, 루나는 디파이(탈중앙화 금융) 등에 쓰이는 테라의 가치를 뒷받침하는 용도로 발행됐다. 하지만 1달러에 고정돼야 할 테라의 가격이 추락했고, 루나도 동반 폭락하면서 가상화폐 시장 전체에 공포감이 확산됐다.


전 세계에서 지난 일주일간 루나와 테라의 시가총액 450억 달러(약 57조7800억 원) 가량이 증발한 것으로 추산된다. 루나 보유 투자자는 최근 기준 28만 명이며, 이들이 700억 개 정도를 보유한 것으로 추정된다. 가상화폐 정보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루나의 평균 가격은 이달 1일 기준 10만1000원선이었으나 이날 오전 현재 0.24원으로 99.99% 폭락한 상태다.

루나사태의 여진으로 또 다른 스테이블 코인 DEI도 달러 가치와 페깅(고정)이 끊어지며 최근 급락했다. DEI는 이달 1일 1260원선에 거래됐으나 이날 720원선에 거래되고 있다. 대표적인 가상화폐 비트코인도 루나 사태 직후 3만달러선이 무너져 변동성 국면을 이겨낼 수 있을지 시험을 거치고 있다.

국민의힘 윤창현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 5년간 가상화폐 541종이 상장 폐지되면서 투자자 피해액만 1조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금융당국은 제2의 루나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도 배재할 수 없어 향후 제정될 디지털자산기본법 등을 통해 재발 방지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고승범 금융위원장은 전날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 회의에 참석해 “법적으로 제도화가 되어 있지 않다 보니 (사태를) 구체적으로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며 “투자자 보호와 관련해서는 가상자산업법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지 않다 보니 근거법이 없어 별도 조치가 어렵다”고 말했다.

같은 날 정은보 금융감독원장도 임원회의를 열고 “관계법령 부재에 따라 감독당국의 역할이 제한적인 상황”이라며 “앞으로 제정될 디지털자산기본법에 불공정거래 방지, 소비자피해 예방, 적격 가상화폐공개(ICO) 요건 등 재발 방지를 위한 방안이 충실히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수환 기자 ksh@viva100.com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