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릿지경제
'거래절벽' 속 서울 상반기 주택매매량 52%감소… 미분양도 증가 본문
잇따른 금리인상과 대출규제 등으로 주택 거래절벽이 심화되면서 미분양 주택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국의 주택 매매량은 총 31만260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55만9323건)과 비교해 44.5% 감소했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12만3831건으로 작년 상반기 대비 55.5% 감소했고, 서울은 3만4945건으로 52.0% 줄었다. 지방은 18만6429건으로 33.7% 감소했다.
유형별 거래량은 아파트가 18만4134건으로 50.6% 감소했고, 아파트 외 주택(12만6126건)은 32.3% 줄었다.
이런 분위기 속 미분양도 감소세다.
올해 6월 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총 2만7917호로 전월보다 2.0%(535호) 증가했다. 이 중 수도권의 미분양 주택은 4456호로 한달 새 25.1%(893호) 늘어났다. ‘준공 후 미분양’의 경우 전국적으로 7130호로 전월보다 4.4% 증가했다.
특히 서울의 준공 후 미분양은 5월 37호에서 6월 215호로 481%로 폭증했다. 수도권의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전월보다 46.1% 늘어난 837호로 집계됐다.
임대차 신고제 자료와 확정일자 신고 자료를 합산한 상반기 전·월세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총 157만467건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35.5% 늘었다.
전·월세 거래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상반기 누계 기준 51.6%로 기록됐다. 이는 정부가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1년 이후 처음 절반(50%)을 넘어선 것으로, 작년 같은 기간(42.0%) 대비 9.6%포인트(p), 최근 5년 평균(41.4%)과 비교해 10.2%p 각각 늘어난 수준이다.
1∼6월 주택 인허가 물량은 전국 기준 25만9759호로,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해 12.6% 증가했다.
상반기 주택 착공 규모는 전국 기준 18만8449호로 지난해 동기 대비 30.0% 감소했다. 이 가운데 수도권은 10만787호로 작년 동기 대비 25.8% 감소했고, 지방은 8만7천662호로 34.3% 줄었다.
채현주 기자 1835@viva100.com
'오늘의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 대통령 지지율 28%… 취임 두 달 반만에 20%대 추락 (0) | 2022.07.29 |
---|---|
장서희, 영화 ‘독친’ 캐스팅…5년 만의 스크린 컴백 (0) | 2022.07.29 |
SK바사, 英서 ‘국산 1호’ 코로나19 백신 조건부 허가 신청 (0) | 2022.07.29 |
"모바일 앱 들고 오프라인 쇼핑"…발란, 첫 오프라인 매장 가보니 (0) | 2022.07.29 |
불륜&막장… 하지만 시청자들은 이 '둘'만큼은 응원했다 (0) | 2022.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