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릿지경제
은행 주담대 4%대, 신용대출 6%대…가계대출 8년9개월 만에 '최고' 본문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시장금리 상승 등의 영향으로 은행권의 지난달 가계대출 평균 금리가 8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4.2%대로 올랐다.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 금리도 각각 4%대, 6%대에 진입했다.
한은이 29일 발표한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통계에 따르면 6월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금리(가중평균·신규 취급액 기준)는 연 4.23%로 집계됐다. 2013년 9월(4.26%) 이후 8년9개월 만의 최고 수준이다.
가계대출 중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전월의 연 3.90%에서 이달 연 4.04%로 0.14%포인트(p) 올랐다. 2013년 2월(4.06%) 이후 9년 4개월 만에 첫 4%대 진입이다.
신용대출 금리도 전월(5.78%) 보다 0.22%p 오른 연 6.00%이다. 2013년 8월(6.13%) 이후 8년 10개월 만에 6%대가 됐다.
지난달 예금은행의 신규 취급 가계대출 가운데 고정금리 비중은 전월(17.4%)보다 1.0%p 높아진 18.4%를 기록했다.
잔액 기준으로는 고정금리 비중이 전월(22.3%) 보다 0.4%p 감소한 21.9%였다. 변동금리 비중은 78.1%로 2014년 3월(78.6%) 이후 가장 높았다.
기업 대출 금리도 전월(3.60%)보다 0.24%p 상승해 연 3.84%로 나타났다. 2015년 2월(4.02%)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대기업 대출 금리는 연 3.59%로 0.24%p, 중소기업 대출 금리는 연 4.06%로 0.27%p 올랐다.
예금은행의 저축성수신(예금) 금리 평균도 연 2.02%에서 2.41%로 0.39%p 올랐다. 2014년 7월(2.49%) 이후 7년 11개월 만에 최고점이다.
예금은행 신규 취급액 기준 대출 금리와 저축성 수신 금리의 차이를 뜻하는 예대마진은 1.49%p로, 전월(1.66%p)보다 0.17%p 축소됐다.
잔액 기준 예대마진은 2.40%p로 전월 보다 0.03%p 확대됐다. 2014년 9월(2.44%p) 이후 7년8개월 만에 최대 수준이다.
김수환 기자 ksh@viva100.com
'오늘의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19 위중증·사망자 약 두 달 만에 최다 (0) | 2022.07.29 |
---|---|
강태오, ‘우영우’ 키스신 비하인드…“조심스럽게 촬영, 너무 긴장했다” (0) | 2022.07.29 |
윤 대통령 지지율 28%… 취임 두 달 반만에 20%대 추락 (0) | 2022.07.29 |
장서희, 영화 ‘독친’ 캐스팅…5년 만의 스크린 컴백 (0) | 2022.07.29 |
'거래절벽' 속 서울 상반기 주택매매량 52%감소… 미분양도 증가 (0) | 2022.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