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릿지경제
지난해 가계 차입·주식투자 '사상 최대'…"상반기까지 빚투 열풍" 본문
지난해 가계가 금융기관 등에서 빌린 돈이 사상 최대로 증가했다. 가계의 주식 취득 규모도 2020년에 이어 역대 최대 기록을 경신했다. 이에 따라 가계 등이 보유한 금융자산 내 주식 비중은 처음으로 20%를 넘어섰다. 지난해 상반기까지 ‘빚투’(빚내서 투자)가 이어지다가 하반기 금리인상 기조로 자금이 예금 등 안전자산으로 이동했다.
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1년 자금순환(잠정)’ 통계에 따르면 가계와 비영리단체의 여윳돈을 나타내는 순자금운용액은 86조9000억원으로 전년(83조9000억원)보다 3조원 늘었다.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대 규모다. 순자금운용은 예금이나 보험, 주식투자 등으로 굴리는 돈(자금운용액)에서 빌린 돈(자금조달액)을 뺀 값이다. 조달액이 운용액보다 많으면 순자금조달액으로 기록된다. 일종의 여유자금으로 볼 수 있다.
지난해 가계의 자금조달은 173조9000억원에서 192조1000억원으로 늘었다. 주택 관련 대출 수요의 영향이 컸다. 대출은 189조6000억원 급증해 사상 최대치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금 운용 규모는 141조2000억원으로 전년(189조9000억원)보다 48조7000억원 감소했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92조5000억원)에 비해서는 높은 수준이다. 지난해 가계의 순자금운용 규모가 줄어든 것은 대출 등으로 자금조달이 늘어난 데다, 코로나19로 부진했던 소비도 늘어난 영향이다.
자금 운용 부문별로는 가계의 지분증권 및 투자펀드 규모가 92조5000억원으로 전년(55조6000억원)보다 36조9000억원 늘어 2009년 통계 편제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가계는 지난해 국내외 주식에만 110조5000억원의 자금을 굴렸다. 지난해 연중 거주자 발행 주식 및 출자지분(국내주식) 87조6000억원과, 해외주식 22조9000억원을 취득했다. 이는 각각 통계편제 이후 최대 규모다. 가계의 결제성 예금은 156조8000억원 늘어 증가폭이 전년(174조4000억원) 보다 축소됐고, 채권은 31조8000억 줄어 감소 전환했다.
이에 따라 전체 가계 금융자산 내 주식 비중이 2020년 19.4%에서 지난해 20.8%로 처음으로 20%를 넘어섰다. 이 중 국내주식이 19.2%, 해외주식이 1.6%였다. 같은 기간 채권 비중은 3.3%에서 지난해 2.3%로 축소됐고, 예금도 41.1%에서 41.0%로 소폭 줄었다.
한은 관계자는 “연간으로는 주식투자가 확대 됐으나 하반기 들어 금리인상 가능성 등으로 위험회피 심리가 확산되면서 장기저축성예금 등 안전자산으로 자금이 이동했다”고 설명했다.
박성민 기자 smpark@viva100.com
'오늘의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주-새물결, 국힘-국민 합당 마무리…지방선거 전 본격 세력 대결 (0) | 2022.04.07 |
---|---|
비수기에 최대 실적 쓴 삼성전자, 올해 메모리 반등으로 매출 '300조' 시대 열까 (0) | 2022.04.07 |
신규확진 사흘째 20만명… 방역당국 “확진자 중간고사, 교육당국 관리계획 마련시 지원” (0) | 2022.04.07 |
'대통령 집무실 특수' 용산…아파트·연립 매매가 상위 5곳 중 4곳 차지 (0) | 2022.04.07 |
“어디부터 팔까”… 다주택자 양도세 완화 추진에 ‘똘똘한 한채’ 가속 (0) | 2022.04.07 |